“676억 액화수소충전소 구축”…범한퓨얼셀, 정부 정책 수혜로 대형 수주 달성
범한퓨얼셀이 676억 원 규모의 액화수소충전소 8개소 구축 계약을 체결하며 수소 인프라 시장에서 사상 최대 대형 수주를 달성했다. 업계는 정부의 수소상용차 보급 정책과 맞물려 이번 대형 계약이 향후 시장 성장의 촉매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
1일 공시에 따르면, 범한퓨얼셀은 SK플러그하이버스와 총 676억 원에 달하는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계약을 맺었다. 이번 계약은 단일 프로젝트로는 최대 규모이며, 조건에 따라 최대 4개소는 9월 30일까지 발주사가 철회할 수 있다. 범한퓨얼셀은 지난해 인천공항 액화수소충전소를 수주하며 본격적으로 이 시장에 진출한 뒤 공정은 순조롭게 진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국내에서 액화수소충전소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자 관련 기업은 차별화된 기술과 가격 경쟁력을 내세우고 있다. 범한퓨얼셀의 경우 액화수소충전소 설계와 구축 역량을 바탕으로, 계열사 범한메카텍이 개발한 국산 저장탱크를 도입하며 원가 절감 효과를 얻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계약이 정부의 친환경차 육성 정책과 기술 내재화, 수소 기반 에너지 전환 정책의 시너지가 반영된 결과로 본다. 실제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수소상용차 3만 대, 액화수소충전소 70개소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관련 업계는 “시장 선점에 성공할 경우 수소 상용차 및 인프라 산업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이 강화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번 수주를 계기로 범한퓨얼셀은 향후 액화수소펌프 공급 파트너사와 협력해 추가 수주 활동에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다. 정부 역시 수소경제 활성화와 인프라 확장을 위한 지원을 잇따라 예고하며 업계 투자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향후 수소차·수소충전소 확대 정책과 기업 간 기술 경쟁이 시장 판도를 좌우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다음 분기 추가 수주 및 관련 정책 발표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