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안군, 대화의 장으로 나와달라”…전남도, 광주공항 이전 협의 촉구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 이전 문제를 두고 전라남도와 무안군이 다시 맞붙었다. 전남도는 9월 19일, 도의회 도정질의 직후 입장문을 통해 “광주 민간·군공항의 미래를 위해 무안군이 대화의 장에 동참해야 한다”고 거듭 호소했다. 정치권의 장기 표류 속에서 양측 간 갈등이 재점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전남도는 “광주 민간·군공항 통합이 오로지 지역 발전을 위한 것임을 강조한다”며 “앞으로도 무안군민의 목소리를 최우선으로 삼아 6자 TF에서 함께 해법을 모으겠다”고 밝혔다. 이어 “지금은 무안국제공항을 서남권 거점공항으로 키울 수 있는 천재일우의 기회”라며 “물 들어올 때 노 젓겠다”는 각오로 한목소리를 냈다.

특히 전남도는 무안군이 요구한 세 가지 선결 조건—광주 민간공항의 KTX 2단계 개통 전 선이전, 1조 원 규모 광주시 지원 보장, 국가 차원의 특별 대책 강구—를 모두 적극 수용하겠다는 방침을 공식화했다. “6자 TF에서 해당 사안들이 반드시 최우선 논의 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최근 대통령이 약속했던 정부 주도 6자 TF는 실무 협의만 이어진 상태로, 무안군의 대화 거부 여파로 답보 상태에 머물러 있다.
정치권에서는 대통령실의 중재 하에 국방부와 기획재정부, 광주시, 전남도, 무안군이 모두 참가하는 6자 TF 구상이 사실상 진전을 보이지 못하자, 전남도가 협상 동력을 회복하기 위한 적극적 ‘호소전’에 나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전남도의 요구 수용에도 불구하고 무안군 측은 신중 기류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여론은 “광주·전남 상생과 무안 미래를 위해 머리를 맞대야 한다”는 기대와, “충분한 정부 지원과 지역 이익 보장이 선결 조건”이라는 신중론이 맞서고 있다. 국회 상임위에서도 “국가적 난제를 해소하려면 현장 소통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정치권은 대통령이 주도한 6자 TF 논의가 표류하면서 당분간 불확실성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회와 정부는 ‘무안군 대화 복귀’의 필요성을 공유하는 한편, 6자 TF가 정상 가동된다면 지역균형발전 논의에 새로운 전기가 마련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