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주담대 금리 줄인상”…수도권 한도 제한 겹쳐 대출 부담 가중
경제

“주담대 금리 줄인상”…수도권 한도 제한 겹쳐 대출 부담 가중

강다은 기자
입력

7월 들어 주요 시중은행들이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잇따라 올리며 수도권 내 내 집 마련 수요자의 부담이 한층 심화되고 있다. 여기에다 지난 6월 28일 발표된 '6·27 부동산 대책' 시행으로 수도권 주담대 한도도 최대 6억원으로 제한되면서 대출 문턱이 급속히 높아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은행은 이날 주기형 주담대 금리를 하루 전보다 0.06%포인트 인상해 연 3.57~4.77%로 조정했다. 기준이 되는 지표금리는 0.01%포인트 소폭 내렸지만, 가산금리가 0.07%포인트 오르면서 전체 대출 금리는 오히려 상승했다.

출처=연합뉴스
출처=연합뉴스

신한은행 역시 변동금리형 주담대 금리를 이날 연 3.62~5.03%로 상향 조정했다. 전일 대비 0.08%포인트 높은 수치로, 2023년 10월 이후 19개월 연속 하락세였던 신잔액 코픽스 지표와는 대조된다. 고객 입장에서는 기준금리와 달리 실제 대출 적용금리가 오르고 있어 혼란이 커진 모습이다.

 

하나은행도 대환대출 상품별 금리를 일괄 인상하고 있다. 변동형 갈아타기 금리는 4.23%에서 4.33%로, 혼합형 갈아타기 금리는 연 3.73%에서 3.83%로 각각 0.1%포인트씩 뛰었다.

 

대출금리 인상은 매달 상환해야 할 원리금 부담을 늘리는 데 그치지 않는다. 이달부터 시행된 스트레스DSR 3단계 규제의 영향으로, 대출 한도 자체도 줄어든다. 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심사가 한층 강화돼 차주별 대출 가능 금액은 추가로 축소되는 구조다.

 

금융권에서는 대출 규제와 금리 인상이라는 이중고에 내 집 마련 수요자들의 고민이 커질 것으로 보고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최근 금리 산정 체계, 위험가중치 강화 등 여러 요인으로 대출금리가 오르는 가운데, 수도권 한도 제한까지 겹치는 모습"이라며 "차주 입장에서 총부채 상환능력이 더욱 중요한 시기"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금리 인상 흐름이 앞으로도 당분간 이어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고 보고 있다. 투자 심리 위축, 실수요 위주 대출 수요 감소 등 부동산 시장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정부는 새로운 대출 규제가 안착할 수 있도록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으며, 금융당국 역시 시장 동향에 맞게 금리 흐름과 대출 한도 변화를 면밀히 점검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앞서 지난 6월 28일 도입된 수도권 주담대 한도 제한은 주택구입 목적 대출의 최대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조치로 이미 서울 등 수도권 지역 주택 거래 및 대출 수요에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지난해 하반기 이후 대출금리는 한동안 완만한 하락세를 보였지만, 최근에는 은행권의 조달 비용 증가, 규제 강화 등으로 반등세로 전환되는 분위기다.

 

향후 정책 방향은 금리, 부동산 거래량, 가계부채 등 주요 지표 흐름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시장에서는 이달 적용되는 대출 규제와 하반기 중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강다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주담대금리#수도권대출한도#ds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