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스테이블코인 시총 5천억달러 전망”…JP모건, 시장 낙관론 경계론 제기
국제

“스테이블코인 시총 5천억달러 전망”…JP모건, 시장 낙관론 경계론 제기

강민혁 기자
입력

현지시각 기준 4일, 미국(USA) 투자은행 JP모건은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2028년까지 5천억달러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시장 일각에서 1조달러까지 성장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JP모건은 결제 수단으로서 실제 사용률이 낮다는 점을 지적하며 신중론을 제기했다. 이번 분석은 글로벌 가상자산 시장의 성장 방향 및 제도적 편입 논쟁 속에서 발표돼 관련 업계는 물론 각국 정책당국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JP모건은 현재 스테이블코인 시가총액이 약 2천500억달러 수준이지만, 이 중 실제 결제에 활용되는 규모는 6%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스테이블코인이 가상화폐 거래나 디파이(분산형 금융), 담보 등 한정된 용도에 머물러 있다는 평가다. JP모건은 “결제 수단으로서의 역할은 미미하고, 전통 화폐를 대체할 만큼의 제도적·기술적 토대도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JP모건, 스테이블코인 시총 전망치 5천억달러 예상…시장 낙관론에 경계
JP모건, 스테이블코인 시총 전망치 5천억달러 예상…시장 낙관론에 경계

스테이블코인은 달러(USD), 유로(EUR) 등 실물 자산과 연동해 가격 변동성을 최소화하는 가상자산으로, 미국 국채가 주요 담보 자산으로 사용된다. 최근 스테이블코인의 확장 가능성을 둘러싸고 전망이 엇갈리고 있다. 앞서 스탠다드차타드 은행은 2028년 시가총액이 2조달러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고, 번스타인 증권사는 10년 내 공급량이 4조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같은 성장성 논란의 배경에는 각국의 규제 도입 움직임과 중앙은행 발행 디지털화폐(CBDC) 추진이 자리 잡고 있다. 미국 상원은 최근 스테이블코인 규제 및 입법을 위한 ‘지니어스 법안’을 통과시켰고, 이에 따라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장관도 “미국 국채로 담보되는 스테이블코인은 글로벌 달러 수요를 높일 것”이라며 “2조달러 시가총액 전망은 현실적으로 가능하다”고 밝혔다. 실제로 최근 전통 금융권 및 일반 기업들의 관심도 꾸준히 고조되고 있다.

 

중국(China) 역시 디지털 위안화의 국제 사용 확대를 공식 천명했다. 판궁성 인민은행 행장은 디지털 위안화 도입 계획을 발표했고, 알리바바 산하 앤트그룹도 자회사 앤트 인터내셔널을 통해 알리페이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JP모건은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나 알리페이·위챗페이의 성공 사례가 곧 스테이블코인의 글로벌 채택으로 이어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블룸버그와 CNBC 등 주요 외신은 JP모건의 전망을 ‘시장 성장에 대한 첫 경계 신호’로 해석했다. 투자은행들 사이에서도 신규용도 확대, 규제환경 정착, CBDC와의 경쟁 구도 등 다양한 변수에 따라 스테이블코인 성장 전망이 엇갈리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편입과 글로벌 결제 시장 내 실질적 활용도가 시장 확대의 핵심 변수라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이번 JP모건 보고서가 향후 가상자산 정책 기조와 글로벌 결제 질서 변화에 어떤 신호를 던질지 주목된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jp모건#스테이블코인#미국상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