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ATM서 금까지 산다”…크레더-다윈KS, RWA 디지털 금융 혁신
IT/바이오

“ATM서 금까지 산다”…크레더-다윈KS, RWA 디지털 금융 혁신

신도현 기자
입력

블록체인 기반 실물자산 연계(RWA) 기술을 현장 금융 인프라와 직접 결합하는 시도가 국내에서 현실화되고 있다. 크레더와 다윈KS가 체결한 공동 사업 추진 협약을 통해, 골드스테이션 플랫폼의 금 기반 RWA 토큰과 스테이블코인이 전국 ATM 네트워크에서 실시간 교환 및 인출로 이어지게 된 것이다. IT와 전통 금융망의 융합이 실물자산의 디지털화를 일상 속 거래로 확장하는 계기가 될지 업계 주목도가 높아지고 있다.

 

협약의 핵심은 실물 금 기반으로 1대1 연동 발행되는 GPC(Gold Pegged Coin) 등 RWA 토큰이, 이미 전국 주요 편의점과 관광지에 설치된 다윈KS의 ATM을 통해 현금 등 법정통화, 가상자산, 스테이블코인 간 자유로운 교환 채널을 제공함에 있다. 크레더의 블록체인 기반 자산 토큰화 기술과 다윈KS의 DTM, CTM 등 오프라인 환전형 키오스크의 결합으로, 사용자는 ATM에서 금 스테이블코인 구매 및 현금화, 외환 환전과 디지털 자산 거래까지 실시간 처리할 수 있다. “자판기에서 음료를 사듯 ATM에서 금을 산다”는 사용자 경험이 현실로 다가온 셈이다.

RWA(Real-World Asset)란 실물자산, 예를 들어 금·부동산 등을 디지털 토큰으로 전환해 블록체인상에서 발행·거래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이 방식은 기존 디파이(분산금융)의 담보자산 다양성을 확대하고, 금이나 외화 등 전통자산의 유동화 대상을 크게 넓힐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해외에서도 미국의 블랙록, 시타델 등 대형 자산운용사가 RWA 기반 토큰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특히 ATM 인프라와 결합된 방식은 가상자산이 온·오프라인 모두에서 실시간 교환되는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는 데 유리하다. 외국인 관광객과 국내 고객 모두 ATM에서 직접 금 스테이블코인 또는 외국환 등을 손쉽게 인출·교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실질적 실물 경제 내 디지털 자산 활용처가 넓어질 것으로 보인다.

 

경쟁적으로 RWA와 오프라인 금융 서비스를 결합하는 디지털 금융 모델은 글로벌 시장에서도 본격화되는 추세다. 일본·싱가포르 등은 금융기관이 자체 발행한 금·현물 등 실물연계 코인을 은행망에서 교환·거래토록 하는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다. 이에 비해 국내 사례는 민간 핀테크 기업 중심 자체 인프라 활용이 특징이다.

 

한편 자산 토큰화 및 크립토-환전 키오스크 확대는 ‘특정 금융정보법’ 등 금융·자본시장 규제와의 정합성 문제도 제기된다. 복수의 실물자산 기반 디지털 토큰이 거래될 때, 자금세탁방지(AML) 체계와 가상자산업자 신고·인증, 실물 담보의 투명성 인증 등 규제 개선 논의가 병행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전문가들은 “디지털 실물자산 거래 채널이 오프라인 인프라와 연결되면 자산관리, 송금, 환전, 투자 등 생활금융 영역에까지 디지털 자산 활용이 급속히 확장될 수 있다”며 “향후 제도적 기반 강화와 신뢰 모델 마련이 실제 시장 안착의 성패를 가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산업계는 이번 협력이 디지털 자산이 실물경제 내에서 실제로 통용·확산되는 분기점이 될지 주시하는 분위기다.

신도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크레더#다윈ks#골드스테이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