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연루 조직, 코인 세탁 정황”…경찰, 업비트 강제수사 착수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가 캄보디아 범죄조직의 자금세탁 창구로 활용됐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경찰이 강제수사에 착수한 사실이 확인됐다. 자금세탁에 가상화폐가 악용된 현실이 드러나며, 가상자산 시장의 관리·감독 실태에 대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서울경찰청 안보수사과는 10월 15일, 특정 가상자산 플랫폼 ‘후이원 개런티’와 관련해 업비트 사무실을 압수수색했다. 수사는 후이원 개런티와 연관된 코인 입출금 내역을 확보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후이원 개런티는 해외에서 초국가적 범죄집단으로 분류돼 미국, 영국 등에서 제재 대상에 오른 바 있다.

이 사건의 실마리는 업비트가 자금세탁 방지 시스템으로 비정상 거래를 적발한 데서 시작됐다. 업비트는 지난 3월, 후이원 개런티와 연계된 코인 거래 기록이 있는 이용자 205명을 경찰에 신고하며 자체 조치를 취했다. 거래 규모는 약 2억 원에 달했다. 업비트 관계자는 “의심 거래 탐지 후 즉시 대응 조치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다른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들 역시 5월부터 후이원 개런티 연관 코인 출금을 차단했으며, 경찰은 여타 거래소 이용자들도 수사 대상으로 포함할 계획임을 시사했다. 경찰 관계자는 “해당 거래 흐름이 범죄수익 은닉 등 자금세탁에 사용됐을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수사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전했다.
이번 사건은 가상자산이 국경을 초월한 범죄 조직에 의해 악용되는 구조적 허점을 재확인시킨다. 전문가들은 “거래소에 대한 실명확인 강화, 이상거래의 실시간 감시체계 확충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한편, 업비트 등 거래소 차원의 신고와 대응 노력에도 불구하고, 제도적 감시 장치의 한계 지적이 이어지고 있다. 현재 경찰과 관계기관은 입출금 기록 정밀분석 등 추가 조치에 나서고 있다.
경찰은 가상자산을 통한 자금세탁 구조와 조직의 국내외 연계 여부 등 남은 고리를 추적할 예정이다. 이번 압수수색 결과와 수사 과정이 향후 국내 가상자산 시장 규제와 범죄대응 체계 개편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