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산 계곡에 모여든 사람들”…광양 무더위 속, 자연 속 피서가 일상
요즘 광양에선 ‘시원함’을 찾아 나서는 이들이 부쩍 늘었다. 불볕더위가 일상이 된 계절, 누구나 자연의 맑은 그림자 아래서 잠시나마 더위를 피하고 싶어 한다.
올여름 광양은 유난히 뜨겁다. 아침부터 온기가 도로를 덮고, 한낮이면 기온이 34도까지 치솟는 날이 반복된다. 기자가 광양시내를 돌아보니, “아예 계곡이나 도서관에서 하루를 보내기로 했어요”라며 웃는 시민들이 눈에 들어왔다. SNS에서도 #백운산계곡 #광양피서 같은 해시태그를 단 인증샷이 연일 이어지고, 어른아이 할 것 없이 더위로부터 잠시 도망치는 풍경이 익숙한 일상이 됐다.

이런 변화는 숫자로도 확인된다. 기상청은 7월 초 광양에 연일 폭염특보가 발령될 것이라고 내놨다. 실제로 낮 최고 34도에 습도까지 더해 체감온도는 35도 가까이 오른다. 밤마저도 식지 않아 열대야 경고도 잇따른다. 야외활동보다 한적한 산림이나 에어컨이 잘 갖춰진 실내를 찾으려는 경향은 자연스럽게 커지고 있다.
전통적으로 백운산 계곡은 광양 시민에게 ‘여름 피신처’로 통한다. 계곡물을 딛고 서 있노라면 온 몸이 즉시 식혀지는 느낌이다. 한 시민은 “아이들과 물놀이를 하니, 더위도 스트레스도 확 달아난다”고 고백했다. 엄마들은 “밑반찬에 과일 몇 개 챙겨 가족 소풍을 즐긴다”며 야외에서의 소박한 행복을 표현하기도 했다.
또 다른 ‘한적한 쉼터’로는 광양매화마을이 인기다. 꽃이 만개한 계절은 아니지만, 깊은 숲길과 그늘, 흙길 산책만으로 머릿속 열기가 식는다. 일상을 뒤로하고 자연 속에 몸을 담그는 시간이 더위를 견디게 해준다고 체험자들은 입을 모았다.
실내를 선호하는 이들에겐 광양시립도서관, 광양문화예술회관이 대안이다. 아늑한 조명과 음악, 책 향기에 스며들다 보면, 한낮 열기와 자외선 걱정은 잠시 잊힌다. 학생부터 어르신까지 각자만의 방식으로 시원함을 찾는 모습도 인상적이다.
광양에서의 여름은 점점 더 뜨거워지고 있기에, ‘내려놓는 방법’도 달라지고 있다. 심리학자들은 “계절 스트레스가 점차 심화되는 만큼, 자연이나 생활 속 작은 휴식처를 찾는 노력이 삶의 활력을 높인다”고 조언한다.
댓글 반응도 흥미롭다. “거리 가까운 계곡이 이렇게 소중한 줄 몰랐다”, “예전엔 무조건 바다였는데 이젠 그늘진 산이 최고” 등의 공감이 줄을 잇는다. 그만큼 무더위 속에서 자신만의 작은 탈출구를 찾는 움직임이 자연스러운 광경이 됐다.
작고 사소한 선택이지만, 우리 삶의 방향은 그 안에서 조금씩 바뀌고 있다. 광양의 여름, 시원한 자연이나 조용한 공간 하나쯤 품은 이들이 앞으로 더 많아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