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김남길-서경덕, 광복 80년 그날을 걷다”…길 위의 기억들→유적지 영상 울림
엔터

“김남길-서경덕, 광복 80년 그날을 걷다”…길 위의 기억들→유적지 영상 울림

오태희 기자
입력

조용한 아침의 숨결 위로, 김남길의 깊고 단단한 목소리가 펼쳐낸 도시는 과거와 현재가 맞닿은 무대였다. '대한이 살았다' 캠페인 속에서 김남길과 서경덕 교수는 도심 곳곳의 잊힌 독립운동 유적지를 직접 찾아 나섰고, 시청자들은 80년 전 광복의 뜨거운 숨결을 따라 걷는 시간을 경험하게 됐다.

 

이번에 공개된 영상은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 건축왕 정세권이 지켜낸 북촌 마을과 앨버트 테일러 가옥 ‘딜쿠샤’ 등 도심 속으로 가라앉은 역사의 조각을 세심하게 복원했다. 눈에 익은 골목길 끝에서 만나는 시인 윤동주의 자취, 그리고 윤동주 기념관 앞에서 건네는 김남길의 진중한 안내에는 깊은 여운이 스며들었다.

서경덕 교수
서경덕 교수

서경덕 교수는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유적지를 세계인과 함께 나누고 싶었다”며, “한국어뿐만 아니라 영어 버전을 통해 더 많은 이들에게 우리 역사가 깃든 곳을 알리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남길 역시 “영상을 통해 국내외 시청자들이 직접 이 역사적인 장소에 가보고, 지금도 살아 있는 광복의 메시지를 느끼기를 바란다”고 희망을 전했다.

 

KB국민은행 캠페인을 통해 서경덕 교수와 김남길은 이미 전형필, 강우규, 조명하 등 14인의 독립운동가 이야기를 다양한 언어로 소개하며 진정성 있는 걸음을 이어왔다. 또한 서경덕 교수는 배우 송혜교와 함께 세계 38개국 유적지에 안내서와 간판, 기념 작품을 꾸준히 기증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광복 80주년인 올해에는 사이판과 티니안 섬까지 한국 역사 안내서 1만 부를 나누며 세계와의 공감대를 이어가고 있다.

 

한편, 이번 영상의 한국어 버전에 이어, 다음 주부터는 영어로도 도심 속 독립운동 유적지 이야기를 만날 수 있을 예정이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남길#서경덕#대한이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