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플라스틱 생수병 고온 방치 위험”…독성 유출, 암 등 건강 위협 심화
IT/바이오

“플라스틱 생수병 고온 방치 위험”…독성 유출, 암 등 건강 위협 심화

조보라 기자
입력

플라스틱 생수병의 고온 노출이 건강과 바이오 안전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중국 난징대와 캐나다 맥길대 연구진은 실험을 통해 플라스틱 생수병이 고온에 방치될 때 암 유발 및 대사 질환을 촉진할 수 있는 독성 물질이 방출된다고 발표했다. 실제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자료에 따르면, 여름철 차량 내부 온도는 외부 기온이 27도만 돼도 20분 만에 43도까지 치솟으며, 1시간 후에는 50도에 도달할 수 있다. 연구팀은 플라스틱 생수병을 섭씨 70도의 환경에 4주간 노출시킨 결과, 중금속 종류인 안티몬(Antimony, Sb)과 플라스틱 가소제인 비스페놀 A(BPA)가 물에 녹아드는 현상을 확인했다.  

안티몬 노출은 단기적으로는 두통·구토·복통, 장기적 노출의 경우 폐 염증·위궤양을 유발하고, BPA는 암·불임·심혈관 질환과의 연관성이 높게 보고되고 있다. 특히 미세플라스틱과 나노입자 역시 37도 이상 환경에서 급격히 방출돼, 냉장 조건(4도 대조군)에서는 거의 검출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현상은 플라스틱 소재 중 프탈레이트 성분의 작용으로, 호르몬 교란 및 신경·면역계까지 건강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미 국립환경보건과학연구소(NIEHS)와 다수 기관이 경고한다.  

글로벌 정밀의료 및 환경 규제 분야에서는 이미 미세플라스틱 및 내분비계 교란물질의 잠재적 위험 논의가 활발하다. EU와 미국은 식수 내 유해플라스틱과 화학첨가제 기준치를 지속 강화 중이다. 반면, 국내에는 관련 인식 및 관리 기준이 상대적으로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전문가들은 “플라스틱 생수병의 장시간 고온 노출이 만성질환 위험인자의 하나로 부각되고 있다”며, “시장 내 플라스틱 병 재질 개선과 소비자 주의가 함께 요구된다”고 평가했다.  

산업계는 일상적 생활환경에서의 화학 물질 노출 관리와 더불어, 바이오헬스 서비스 및 의료 플랫폼 전반의 소재 안전성 인증 등 선제 대응의 필요성에 귀 기울이고 있다.

 

조보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플라스틱생수병#미세플라스틱#안티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