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3대 강국 실현 시동”…과기정통부, 현장 소통 강화에 나섰다
인공지능(AI)이 국가 혁신과 산업 경쟁력의 핵심 동력으로 부상하는 가운데, 정부가 ‘AI 3대 강국’ 실현을 조기 달성하기 위한 현장 중심 정책 행보를 본격화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산업계 및 학계, 연구기관 현장과의 릴레이 소통 행보를 통해 AI 생태계 전반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실질적인 지원 정책 마련에 힘을 쏟고 있다. 업계는 이번 움직임이 글로벌 AI 경쟁에서 한국 역할 확대를 위한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과기정통부는 8일 류제명 2차관이 AI·소프트웨어 산업계 대표단체인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를 방문하면서 현장 소통을 본격 개시했다고 밝혔다. 현장에는 조준희 KOSA 회장을 비롯해 LG AI연구원, 네이버클라우드,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등 AI모델, 클라우드, AI반도체 등 전 영역의 주요 기업이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AI산업의 글로벌 주도권 경쟁 심화 상황과 국내 산업계의 현황 점검, 그리고 정부 지원정책의 구체적 방향이 심도 있게 다뤄졌다.

특히 업계에서는 민·관이 ‘원팀’으로 협력해 AI와 디지털 분야의 글로벌 선도국 도약을 위한 실행력 있는 정책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류 차관은 AI가 국가적 성장동력임을 재확인하며, 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AI 전략을 추진 중임을 밝혔다. 현장 의견이 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행정적, 제도적 지원이 강화될 전망이다.
이어진 현장 행보는 정보보호산업협회(KISIA) 방문으로 이어졌다. 여기서는 안랩, 이글루시큐리티 등 정보보호 및 사이버보안 분야 기업들과 함께 보안 산업의 동반성장 방안이 논의됐다. 최근 고도화되는 사이버 위협 동향에 대응하기 위한 민관 협력 강화, 정보보호 산업의 전략적 육성 등 실효적 안건이 제기됐다.
특히 이번 논의는 기존 AI 및 디지털 혁신 정책과 별개로, 정보보호와 보안 기술의 동반 발전이 ‘AI 3대 강국’ 전략의 필수 전제임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사이버보안과 AI산업의 결합이 빠르게 진행되는 상황에서, 국내 정보보호 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규제 체계 정비가 중요한 과제로 떠올랐다.
정부는 AI산업과 더불어 정보보호 산업의 정책적 지원을 병행함으로써, AI 선도국가의 기반 구축에 힘쓸 방침이다. 산업계는 이번 현장 소통이 실질적인 제도 개선과 지원책 확대의 기폭제가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