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단통법 폐지 보조금 경쟁”…10명 중 3명 통신사 변경 의향
IT/바이오

“단통법 폐지 보조금 경쟁”…10명 중 3명 통신사 변경 의향

윤지안 기자
입력

이동통신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이 폐지될 경우 이통사 간 보조금 경쟁이 본격화될 것이라는 전망에, 휴대폰 이용자 3명 중 1명이 번호이동을 고려한다는 조사 결과다. 단통법이 오랜 기간 이통시장 구조에 영향을 미쳤음에도 소비자 절반만이 해당 법률 존재를 인지하고 있었다. 업계는 이번 조사를 ‘이동통신 보조금 환경 변화의 분기점’으로 평가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가 이달 11일부터 15일까지 전국 14~64세 휴대폰 사용자 3187명을 조사한 결과, 단통법 폐지를 인지한 응답자는 50%였다. 단통법 폐지를 몰랐다는 답변도 50%로 나타나, 법률의 사회적 인지도가 예상보다 낮은 수준임이 확인됐다.

그러나 설문 참여자의 42%는 단통법 폐지에 찬성한다고 답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이 52%로 가장 많아 주저하는 분위기가 읽혔으나, 반대 의견은 6%에 그쳐 시장 기대감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통법 폐지로 인한 긍정적 변화로는 단말기 가격 하락(47%), 보조금 증가(42%)가 꼽혔다. 반면 비싼 요금제 가입 유도(38%), 소비자간 불공정 확대(31%)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기존보다 번호이동에 대한 소비자 기대감이 크게 상승한 점도 눈에 띈다. 보조금이 많아진다는 전제에, 통신사 변경 의향을 밝힌 비율은 전체 32%였다. 이는 작년 하반기(17%)에 비해 두 배 가까운 수치로, 통신비 절감에 대한 실질적 체감 효과를 바라는 분위기가 강해졌음을 시사한다. 이통사별 번호이동 의향은 KT 29%, SK텔레콤 32%, LG유플러스 33%로 조사돼 큰 차이가 없었고, 알뜰폰(36%) 선호도와의 격차도 좁혀졌다.

 

향후 단말기 구입 예정자들 사이에서는 보조금 수혜 기대가 더욱 크게 작용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단말기 구입 계획자의 47%가 이통사 이용을, 38%가 자급제 구매를 선호해 약정폰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됐다. 내년 하반기 구입계획자 중에서는 41%가 번호이동을 고려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최근 SK텔레콤의 유심 해킹 사태에도 불구하고 고객 만족도는 회복세를 보였다. 사건 직후 34%까지 급락했던 만족도는 2, 3차 조사에서 각각 40%, 44%로 증가했다. 다만 보안에 대한 만족도는 SK텔레콤이 23%로, LG유플러스와 KT의 50% 이상 대비 크게 낮았다.

 

관련 업계에서는 단통법 폐지가 현실화될 경우, 이통사 간 보조금 경쟁과 통신사 이동이 활성화되면서 전체 이동통신 시장 구조에 변화가 예상된다고 분석한다. 전문가들은 “과도한 보조금 경쟁에 따른 요금제 상승, 소비자 간 형평성 문제 등도 병행해 논의해야 한다”며 “정책과 시장의 균형이 이동통신 산업 재편의 관건이 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산업계는 이번 변화가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윤지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컨슈머인사이트#단통법#번호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