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부과 유예·인도 제외”…미국, 동남아 협상에 급물살 전망
현지시각 8일, 미국(USA) 정부가 14개국에 25~40%에 달하는 국가별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밝히는 관세 서한을 전달하면서도 인도(India)를 대상에서 제외해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조치는 미국과 동남아 주요국 간 무역 갈등 와중에 태국(Thailand), 인도네시아(Indonesia) 등의 협상 행보에 속도를 가하게 하고 있다. 관세 부과 시점 역시 7월 9일에서 8월 1일로 미뤄지며 당사국들은 추가 협상 시간을 확보하게 됐다.
인도는 원래 26% 관세 부과 대상국이었으나 이번 서한에서 제외되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인도와의 거래가 거의 마무리 단계”라고 언급했다. 실제로 인도 정부는 미국과 농업시장 개방 등 핵심 쟁점에서 입장 차를 좁히며 최근 워싱턴DC에서 1주일 넘게 협상을 이어가는 중이다. 인도 상공부 장관은 “서두르는 합의는 없다”고 밝혔지만 시장에서는 조기 타결 기대가 커지고 있다.

방글라데시(Bangladesh)는 관세율이 37%에서 35%로 소폭 하향됐고, 유예 기간도 확보했다. 방글라데시 협상단은 미국산 항공기, LNG, 밀 등 주요 품목 수입 확대와 무관세 적용을 제안하며 9일부터 협상에 돌입한다.
태국의 경우, 미국이 36%의 상호관세를 예고하자 6일 밤 미국에 대규모 무역흑자 감축 의사를 표명했다. 태국 정부는 미국산 상품 구매 확대, 5년 내 무역흑자의 70% 감축, 7~8년 내 무역수지 균형 달성 등 파격적인 양보안을 내걸었다. 에너지기업 PTT그룹이 미국산 LNG를 20년 간 연 200만톤씩 도입하고, 타이항공도 최대 80대의 보잉 항공기 도입 의향을 밝혔다. 태국은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10~20% 수준으로 낮추는 것이 목표다.
인도네시아도 미국의 32% 상호관세 통지에 즉각 협상에 착수했다. 경제조정장관을 단장으로 한 인도네시아 협상단은 미국에서 약 340억 달러 규모의 에너지·농산물 수입 확대 및 인니 광물 투자 확대, 핵심 수입품목 관세 인하 등을 제안하고 있다.
캄보디아(Cambodia)는 36% 관세 부과 방침에도 4일 양국 협상 기본 틀에 합의했다. 말레이시아(Malaysia)는 25% 관세서한 적용을 받았으나 협상 진척이 더딘 상태다. 라오스(Laos)와 미얀마(Myanmar)는 각각 40%에 달하는 고율 관세에 대응 방안 마련에 차질, 의미 있는 협상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와 별도로 트럼프 대통령은 브릭스(BRICS) 주요국에 대한 추가 10% 관세 부과 방침을 공언, 중국(China), 인도, 인도네시아, 태국 등 동남아와 신흥시장국에도 여파가 미칠 전망이다. 미국 정부의 단기 유예 조치로 각국이 협상 시간을 확보했으나, 추가 관세 경고와 타결 진척 상황에 따라 시장의 불확실성과 무역 환경 변화가 뒤따를 전망이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 등은 “미-동남아 간 무역협상이 갈림길에 섰다”며, 미국의 압박전략에 동남아가 유연하게 대응하느냐가 핵심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가 대선 정국에서 대외경제 압박 카드를 적극 활용하려 한다”고 해석하고 있다.
이번 관세 갈등 국면이 동남아는 물론 글로벌 공급망, 미국과 브릭스, 신흥국 관계에 어떤 재편을 가져올지 국제사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면적 관세 부과 유예와 동시진행 중인 협상 결과에 따라 세계 무역 질서에 상당한 여파가 예상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도 동남아를 둘러싼 미국의 무역전략이 국제 경제의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