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 정상화 일관 추진”…통일부, 김여정 담화에 대응 메시지
남북관계 복원이 다시 시험대에 올랐다. 통일부가 8월 14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의 강경 담화에 맞서 “남북관계 정상화·안정화 조치를 일관되게 추진할 것”이라고 공식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 당국자는 이날 김여정 부부장 담화에 대한 취재진 질의에 “지난 3년간 강 대 강의 남북관계를 선 대 선의 시간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의연하고 긴 호흡으로 접근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어 “한반도 긴장 완화와 평화 구축을 위해선 남북 모두의 성의 있는 자세와 지속적인 행동이 필요하다”며 남북 양측의 노력을 동시에 촉구했다.

김여정 부부장은 같은 날 ‘서울의 희망은 어리석은 꿈에 불과하다’는 제목의 담화에서 “확성기를 철거하든, 방송을 중단하든, 훈련을 연기하든 축소하든 우리는 개의치 않으며 관심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남한의 각종 긴장완화 조치를 ‘기만극’으로 규정하며, 대화 가능성을 차단하는 강경 태도를 드러냈다.
통일부는 이와 관련해 “김 부부장이 이번 담화를 발표한 배경에는 이재명 대통령의 8·15 경축사, 오는 18일 한미연합훈련 ‘을지 자유의 방패’ 실시, 25일 한미정상회담 등 남북 및 한미관계 주요 일정을 고려한 측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또 김여정 부부장이 대남 메시지와 달리 미국을 향해선 대화 여지를 남긴 데 대해선 “북한은 근본 문제의 해법을 미국에 기대고 있으며, 대미 관계 우선 입장이 담긴 것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정치권에선 북측의 강경한 담화가 향후 남북관계 개선이나 대화 재개에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와 함께, 통일부의 ‘일관된 정상화’ 원칙에 주목하는 분위기다. 전문가들은 한미 연합훈련 등 예정된 일정에 맞춰 북한이 추가 담화를 내놓거나 추가 도발에 나설 수 있다는 변수에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국회는 이날 남북관계 현안을 놓고 공방을 이어갔으며, 통일부는 “남북관계가 서로에게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고 재차 밝혔다. 정부는 이번 한미연합훈련과 8·15 경축사를 계기로 남북 간 협력의 물꼬를 틀 방안을 검토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