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칠성음료 3분기 영업이익 16.6%↑”…신제품·해외 호조 힘입어 시장 기대치 상회
롯데칠성음료의 3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16.6% 증가한 918억 원으로 집계됐다. 6일 공개된 이번 실적은 시장 전망치(859억 원)를 6.9% 상회해 경기 침체와 원재료 부담 등 악재에도 불구하고 수익성 회복세를 입증했다. 전문가들은 신제품 판매와 글로벌 시장 성장세가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고 분석한다. 향후 롯데칠성음료의 새로운 사업구조가 업계 전반에도 영향력을 확대할지 주목된다.
롯데칠성음료는 올해 3분기 연결 매출 1조792억 원(1.3% 증가), 순이익 620억 원(39.3% 증가)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 시장 전망치(859억 원) 대비 6.9% 높은 수준이다.

사업별로 음료 부문은 별도 기준 매출 5,384억 원으로 0.1% 줄었지만 영업이익은 551억 원(4.3% 증가)을 거뒀다. 과일, 커피 농축액 등 원재료비와 고환율 부담으로 주스·생수·스포츠음료 매출이 감소했지만, 에너지음료(23.5% 증가)와 탄산음료(0.3% 증가)가 실적을 방어했다. 음료의 해외 매출도 ‘밀키스’, ‘레쓰비’, ‘알로에주스’ 등 브랜드 호조에 힘입어 7.5% 뛰었다.
주류 부문은 내수 부진 속에서도 성장세를 보였다. 별도 기준 매출은 1,933억 원으로 5.3%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139억 원(42.7% 급증)을 기록했다. 소주 주력 브랜드 ‘처음처럼’, ‘새로’ 매출이 2.3% 늘었고, 가정시장 페트 소주와 ‘순하리’ 등 과일소주 해외 판매가 확대되며 주류 수출도 3.6% 증가했다.
글로벌 부문은 3분기 매출 3,842억 원(9.5% 증가), 영업이익 44.8% 증가로 양호한 성장세를 나타냈다. 필리핀 법인은 경영 효율화, 공장 통폐합 등으로 흑자 전환(매출 2,478억 원, 영업이익 46억 원)에 성공했고, 미얀마에서는 ‘스팅’ 등 에너지음료 매출이 47.3% 급등했다. 파키스탄 법인은 설탕 등 원재료 부담으로 영업이익이 30.6% 감소했다.
업계는 롯데칠성음료의 제로음료 신제품, 글로벌 법인 성장 전략, K푸드 열풍 대응이 앞으로의 성장동력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 증권가 관계자는 “환율·원재료 부담이 상존하나 신제품과 해외시장 확대 효과로 실적 개선세가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롯데칠성음료 측은 “제로음료와 브랜드 확대 등 국내외 사업 경쟁력 강화에 집중할 것”이라며 “내년에도 선진시장 내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해외 수익성 개선 전략을 지속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성과는 글로벌 경기·원자재 가격 흐름, 소비 트렌드 변화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