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제조업 협력 ‘랜딩존’ 찾아야 할 시점”…여한구, 미 상무장관과 관세 협상 가속화
정치

“제조업 협력 ‘랜딩존’ 찾아야 할 시점”…여한구, 미 상무장관과 관세 협상 가속화

임서진 기자
입력

미국의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문제를 두고 한미 양국 간 긴장감이 커지는 가운데,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미국 상무장관과 이틀 연속 면담에 나서며 관세 협상이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 미국이 상호관세 발효 시점을 예정보다 3주가량 미루며 막판 협상의 창구를 열어두자, 한국 산업·외교 당국도 긴장을 늦추지 않는 모습이다.

 

여한구 본부장은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상무부에서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과 면담을 진행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이번 논의는 미국이 한국 등 주요 무역국에 상호관세 도입 방침을 밝인 직후 이뤄져, 실제 관세 조치 해소와 제조업 분야 협력 등이 핵심 의제로 다뤄졌다. 두 인사는 9일(현지시간) 추가 협의를 예고하며 협상 가속화를 확인했다.

압박과 유예가 교차한 이번 국면에서 여 본부장은 "8월 1일까지가 새로운 유예 기간이지만 여유 있는 시점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그는 한미 협상에 속도를 내, 양국이 상호 호혜적이고 타협 가능한 ‘랜딩존’을 찾아야 할 중대한 시점임을 거듭 강조했다.

 

면담에서 여 본부장은 한국이 미국의 오래된 동맹이자 ‘특별한 파트너’임을 부각했다. 특히, 첨단산업과 제조업 인프라, 양국에 긴밀히 연계된 공급망을 거론하며, 미국의 제조업 재건에도 한국이 최적의 파트너임을 설득했다. 그는 "양국 제조업 협력이 무역 확대와 균형을 달성하는 효과적인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관세 부과와 교역 불균형 우려를 동시에 해소할 실질 대안을 제안한 셈이다.

 

덧붙여 여 본부장은 자동차와 철강 등 232조에 따라 부과된 품목별 관세의 철폐나, 최소한 경쟁국 대비 유리한 조건으로의 인하가 반드시 포함돼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한미 제조업 협력 방안을 구체화해 나가면서 양국 모두에게 이익이 되는 결과 도출을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강경 정책이 현실화될 경우 한국 수출 산업에 미칠 충격이 상당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반면, 정부 일각은 이번 협상의 장기적 의미를 강조하며 결국 '제조업 동맹' 강화로 가시적인 해법을 만들어낼 수 있을지에 주목하고 있다.

 

여한구 본부장은 지난 5일에는 미국 무역대표부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와도 면담을 갖고 상호관세 유예 연장, 품목별 관세 철폐 또는 인하 등 구체적 쟁점을 집중적으로 논의했다. 여 본부장을 비롯한 한국 협상단은 당분간 워싱턴 DC에 머무르며 관세 협상 막판 총력전에 돌입할 예정이다.

 

향후 3주간 한미 양국은 자동차·철강 등 핵심 산업을 둘러싼 관세 갈등 해소와 제조업 협력 확대를 위한 고위급 논의를 이어간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믿을 수 있는 한미 경제 파트너십을 토대로 관세 문제의 실질적 해법을 도출할 수 있도록 협상력을 집중하겠다”고 전했다.

임서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여한구#미국상무부#관세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