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사도광산 추도사 ‘강제성’ 표현 이견”…정부, 일본 추도식 또 불참 결정
정치

“사도광산 추도사 ‘강제성’ 표현 이견”…정부, 일본 추도식 또 불참 결정

한채린 기자
입력

사도광산 추도식을 둘러싼 한일간 협의가 끝내 접점을 찾지 못했다. 정부가 일본 주관의 사도광산 추도식 참석을 두고 일본 측과 진지한 대화를 이어왔으나, ‘강제성’에 대한 표현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불참을 택했다. 양국 간 역사 인식 충돌이 다시 정치권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9월 4일, 일본이 오는 13일 개최할 예정인 사도광산 추도식과 관련해 “올해 추도식에 참석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그는 “한국인 노동자들의 넋을 기리고 유가족의 아픔을 위로하는 방향으로 온전하게 개최되도록 일본 측과 적극 협의했지만, 핵심쟁점에 대한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사도광산에서 희생된 한국인 노동자들의 ‘강제노동’ 실태를 추도사에 명시적으로 포함시킬 것을 요구했다. 이에 대해 “한국인 노동자들이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강제로 노역해야 했다는 것이 적절히 표현돼야 추모의 격이 갖춰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관계자는 설명했다. 그러나 일본 측이 제시한 추도사 내용의 수위는 정부 요구에 미치지 않았고, “노동의 강제성에 관한 구체적 표현에 접점을 찾지 못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일본이 주관하는 추도식에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참석하지 않기로 결정한 뒤, 4일 오전 일본 측에 이를 공식 통보했다. 일본 측은 한국 정부의 입장을 경청했다는 입장만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정치권에서는 한일 양국의 입장차가 여전히 뚜렷함을 주목하고 있다. 한국은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진정성 있는 추모를 강조했고, “사도광산에서의 고난의 근원과 성격을 정면으로 언급해야 한다”는 점을 일본 측에 역설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일본 측은 구체 표현에 신중한 입장을 고수했다.

 

한편 정부는 올해 일본이 주관하는 추도식 참석이 불발됨에 따라, 유가족들을 위해 한국 자체 추도식을 별도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자체 추도식 시기와 규모는 아직 미정이나, 올해 가을 개최를 검토 중이다.

 

이날 정부 불참 결정으로 올해 사도광산 추도식은 양국 간 추모 방식의 이견을 다시 한 번 드러냈다. 정부는 “유가족을 배려한 진정한 추모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방안을 계속 협의하겠다”고 덧붙였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일본#사도광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