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석증 환자 26% 급증”…식습관 변화가 위험 키운다
국내 담석증 환자가 최근 5년 새 26% 넘게 증가하며, 서구화된 식습관과 비만 인구 증가가 질환 발생의 주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담즙 내 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아지면 콜레스테롤성 담석이 쉽게 형성될 수 있고, 초기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데다 통증이 일시적이어서 진단과 치료가 늦어질 수 있다. 전문가들은 무증상 환자가 많아 40세 이상 및 비만 등 고위험군은 복부 초음파 등 정기적인 검진으로 담석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산업계에서는 이런 의료데이터 분석·조기진단 솔루션의 확대가 향후 정밀의료 시장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9일 건강보험 환자 통계에 따르면 담석증 진료 환자는 2020년 대비 26.4% 이상 증가했다. 담즙은 간에서 생성돼 지방 소화를 돕는 소화액으로, 콜레스테롤·담즙산염·빌리루빈·수분 등으로 이뤄져 있다. 이 성분들의 균형이 깨지면 결정체가 형성돼 담석으로 발전할 수 있는데, 초기에는 무증상인 경우가 대부분이여서 꾸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김범수 경희대병원 간담도췌장외과 교수는 “복부 초음파 등 진단기술이 발전하면서 우연히 담석이 발견되는 환자도 많아졌다”고 밝혔다.

담석이 담관을 막거나 담낭·췌장 등 주변 장기를 자극하면 명치부터 우상복부, 등, 어깨 등으로 번지는 극심한 통증과 함께 황달, 발열 등 염증 증세가 동반된다. 특히 식사 후 통증이 심하며, 악화될 경우 담낭 천공, 복막염, 패혈증 등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조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치료 방법은 환자 상태와 위험 요인에 따라 결정된다. 무증상 담석은 수술 없이 경과관찰하는 것이 원칙이나, 2.5cm 이상의 대형 담석, 담낭 석회화, 담낭 용종 등 고위험 소견이 동반되면 예방적 담낭 절제술을 권고한다. 최근에는 전통적인 복강경 수술 외에도 미세 복강경, 단일공, 로봇수술 등 환자별 맞춤 접근법이 도입되고 있다. 수술 후 담낭이 없어도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이 소장으로 계속 이어져 일상생활에는 큰 지장이 없지만, 소화기능 변화와 합병증 여부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일각에선 무증상 담석이라도 예방 차원에서 수술하는 사례가 있으나, 실제 담석이 담낭암 등 악성 질환으로 진행될 위험성은 10% 미만이다. 전문가들은 전문의 진단에 근거한 치료 선택이 중요하다는 점을 거듭 강조한다. 여성, 40세 이상, 비만, 급격한 체중 감소 등은 고위험 요소로 꼽히므로 자체검진과 생활습관 관리가 필요하다.
미래 의료 패러다임에서는 정밀 진단, 비침습적 치료, 데이터 기반 예측관리 기술이 융합되고 있다. 산업계는 환자 맞춤형 진단모델, 비만·대사질환 측정 플랫폼 등 IT·바이오 융합 기술이 담석증 같은 생활질환 대처 방식 자체를 바꿀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산업계는 이번 통계가 연령·생활 습관 변화에 맞춘 헬스케어 서비스 혁신 시그널이 될지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