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청소기도 보안 경쟁”…과기정통부, IoT인증 강조하며 안전성 제고
로봇청소기 보급 확대로 인한 사생활 침해 우려가 높아지면서, 정부가 IoT(사물인터넷) 보안인증 제도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한국소비자원과 함께 시중 유통 중인 6개 로봇청소기 제품의 보안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일부 제품에서 실제로 개인정보 유출과 사생활 침해 위험이 확인됐다고 밝혔다. 반면, IoT보안인증을 취득한 제품은 상대적으로 우수한 보안성을 보여, 인증 여부가 소비자 선택의 핵심 지표로 떠오르고 있다.
IoT보안인증은 로봇청소기, 스마트 냉장고, 디지털 도어락 등 생활 밀착형 제품이 일정 수준의 보안 요구조건을 충족하는지 시험·평가하는 법정 인증이다. 이번 실태조사에선 인증을 통과한 제품이 비인증 제품에 비해 데이터 보호 체계와 보안 업데이트 관리 등에서 월등한 평가를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시장에서는 최근 가정 내 카메라 내장 로봇청소기 등 네트워크 연결 디바이스 비중이 늘면서, 기기 자체의 보안 취약점이 해커의 표적이 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소비자 관점에서도 기기 해킹시 실시간 영상·개인 데이터가 유출될 수 있어, 안전장치로서의 인증의 실효성이 부각되고 있다는 평가다.
정부는 이번 점검 결과와 함께, 제조사·유통사를 대상으로 제품 보안성 강화와 IoT보안인증 확대 획득을 독려하는 간담회를 이달 중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소비자에게는 제품 구매 전 인증 확인, 비밀번호 주기적 변경, 보안 업데이트 생활화 등 기본 수칙 실천을 적극 권장할 방침이다.
국외의 경우 미국, 유럽 등 주요국도 IoT 제품 안전 기준을 대폭 강화하며, 국가간 인증 상호인정협정(MRA) 체결 경쟁이 본격화되고 있다. 과기정통부 역시 국내 인증의 국제 신뢰도 제고와 국내 기업 수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글로벌 인증 상호협력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다만, 현재 IoT 보안 인증은 일부 제품에 한정돼 있으며, 법적 근거 강화와 실태 점검 주기 확대 등 제도 개선이 요구된다.
전문가들은 “IoT 시대, 디지털 기기의 안전성이 소비자 신뢰와 산업 성장의 핵심 조건”이라며 “보안인증 의무화 등 제도적 뒷받침 강화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산업계는 이번 보안 점검 결과가 기술 기반 일상제품 전반의 신뢰성 제고와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준선을 높이는 계기가 될지 주시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