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트럼프, 8월 1일 관세 부과 서한”…이재명 대통령실 긴급 대책회의 소집
정치

“트럼프, 8월 1일 관세 부과 서한”…이재명 대통령실 긴급 대책회의 소집

한채린 기자
입력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산 수입품에 25%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공식 통보하면서, 이재명 대통령이 이끄는 대통령실과 관계부처가 긴급 대책 마련에 착수했다. 미국발 관세 폭탄 가능성에 한미 통상현안이 격랑에 휩싸였다.

 

8일 대통령실은 김용범 정책실장 주재로 오후 1시 30분 한미 통상현안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열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 앞으로 보낸 ‘8월 1일 관세 부과’ 서한이 결정적 계기가 된 것이다.

회의에는 김용범 정책실장 외에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제3차장, 윤성혁 산업정책비서관 등 대통령실 핵심 실무진이 참석한다. 또 관계부처에서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과 산업통상자원부·기획재정부·외교부 각 부처 차관이 실무 대응에 나선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현지시간) 이재명 대통령에게 서한을 보내 “8월 1일부터 한국산을 포함한 미국 내 모든 수입제품에 25% 상호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혀 국내 산업계의 충격을 안겼다. 이에 따라 이날 회의에서는 대미 관세 협상 상황과 대응방안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산업통상자원부는 공식 입장문을 통해 “이번 서한으로 8월 1일까지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유예가 연장된 것으로 본다”며 “관세로 인한 불확실성 해소와 상호 호혜적 협상 결과 도출을 위해 협상에 박차를 가하겠다”고 강조했다.

 

정치권은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 조치가 한미 경제협력과 교역 환경에 미칠 부정적 영향에 주목하고 있다. 여야 각 정당은 미국의 통상 압박에 대한 정부의 신속·강경 대응 필요성에 한 목소리를 내면서도, 후속 협상 전략 마련을 촉구하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한미 자유무역질서의 전면 재검토 가능성 등 파장이 상당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부과 시한까지 한미 양국 간 협상에 집중할 방침이다. 대통령실은 관계부처와 실시간으로 대응책을 마련하며, 8월 1일 전까지 추가 외교적 접촉과 협상 일정을 조율할 예정이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트럼프#관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