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5 MMORPG”…드림에이지, 아키텍트 FGT 마무리로 신작 경쟁 가속
언리얼 엔진5 기술을 적용한 대형 MMORPG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이 포커스 그룹 테스트(FGT)를 통해 하반기 신작 시장의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드림에이지(구 하이브IM)는 21일 신작 아키텍트의 FGT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히며, 올해 하반기 정식 출시에 앞서 게임 완성도를 극대화하는 막바지 체계 점검에 돌입한다. 업계는 이번 테스트가 고도화된 그래픽·세계관과 유저 중심 콘텐츠 설계 경쟁의 분기점이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공개된 FGT에서 참가자들은 언리얼 엔진5 기반의 고품질 그래픽, 퍼즐·비행 등 몰입형 ‘환영 금고’ 콘텐츠, 월드 및 필드 보스전 등 핵심 시스템을 체험했다. 수집된 피드백에 따르면 전통 성장형 MMORPG 구조 위에 논타겟팅 전투, 퍼즐, 기믹 등 수동 조작 중심의 요소가 결합돼 사용자의 플레이 경험에 입체적 변화를 일으켰다. 드림에이지는 이런 현장 반응을 토대로 전투 손맛과 성장 동기, 차별화된 탐험 요소의 밸런스를 조정할 계획이다.

기술적으로는 언리얼 엔진5의 레이트레이싱 및 대용량 필드 구현 역량을 도입해 영화적 비주얼과 역동적 월드 환경을 갖췄다. 기존 MMO 대비 사실적인 광원 및 물리 효과, ‘활강·수영·암벽 등반’ 등 제한 없는 이동 시스템이 정형화된 퀘스트·자동전투 중심 시장의 틀을 확장하는 시도로 해석된다. 특히 조작 자유도와 탐험 영역의 확충은 기존 모바일 MMORPG의 반복 구조에서 벗어나 이용자 몰입도를 향상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는 아키텍트가 글로벌 MMORPG 경쟁 우위 확보를 위한 ‘핵심 IP’로 주목받는다. 글로벌 톱타이틀들과 견줄 만한 그래픽·월드 설계를 내세움과 동시에, 파티플레이·보스전 등 커뮤니티 강화 요소와 정밀한 월드 탐험 시스템이 차별화 포인트로 부상한다. 북미·유럽 등 상위 시장에서도 고품질 그래픽과 오픈필드 자유도를 앞세운 MMORPG가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드림에이지가 글로벌 흥행 공식에 근접할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정식 출시에 앞서 콘텐츠 접점 확대, 지속적 밸런스 튜닝 등 숙제가 남아있다. 국내·외 시장 모두 소셜플레이, 수집형 성장, PvP·PvE 등 세분화된 수요에 맞춘 유연한 구조 전환이 요구되며, FGT 결과를 반영한 추가적 개선 작업도 진행된다. 관련 업계에선 “기술 진보만큼 플레이 경험의 혁신이 수반돼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며, “현지화 전략·IP관리·운영 고도화 등이 흥행 변수로 남는다"고 분석한다.
정책·규제 측면에서는 현 단계에서는 신규 게임물 등급분류, 데이터 보안 정책, 국제 스토어 입점 요건 등이 상용화의 진입장벽으로 언급되고 있다. 최근 게임 산업 내에서 그래픽 엔진 상용화 및 데이터 암호화 의무 등이 강화되는 추세에 맞춰, 드림에이지 역시 글로벌 론칭을 위한 인증 및 개인정보보호 체계를 보강 중이다.
산업계는 언리얼 엔진5 기반 대형 MMORPG가 실제 시장에 안착할지, 전통 MMORPG 시장의 구도를 얼마나 빠르게 바꿀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기술과 콘텐츠, 글로벌 운영 체계의 균형이 신규 IP 성공의 관건으로 떠오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