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희 집사 게이트 관련자 구속심사”…IMS·운용사 대표, 특검 수사 급물살
부당 투자 유치 의혹을 둘러싸고 특검팀과 주요 인사들이 맞붙었다. 김건희 여사 ‘집사 게이트’의 핵심 인물 3명에 대한 구속심사가 2일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리며, 수사선이 핵심 관련자와 김 여사 본인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다. 법원 심사 결과에 따라 정치권 파장과 특검 수사 방향이 결정될 전망이다.
서울중앙지법 박정호 부장판사는 이날 오전 10시 30분부터 IMS모빌리티 조영탁 대표, 모재용 이사,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 민경민 대표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시작했다. 이들은 김건희 여사 ‘집사’로 불린 김예성씨가 관여한 IMS의 부당 투자 유치 의혹, 배임·횡령, 증거은닉 등에 연루된 주요 인물로 꼽힌다. 구속영장은 지난달 29일 민중기 특별검사팀에서 청구됐으며, 이날 중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조영탁 대표는 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 위반, 35억원 횡령, 외부감사법 위반 등 다수 혐의를 받고 있다. 민경민 대표 역시 배임 혐의에 연루됐고, 모재용 이사는 특검의 압수수색 당시 PC 등 증거자료를 치우려 하는 증거은닉 혐의로 심문대에 올랐다. 특검팀에서는 반영기, 장현구, 박윤상, 박현 검사 등 4명이 이날 직접 심문에 나섰다.
업계와 법조계에서는 김예성씨가 설립·지분을 가진 IMS모빌리티가 2023년 오아시스에쿼티파트너스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 HS효성, 신한은행 등에서 184억원을 투자받았다는 의혹이 불거지며, 막대한 부채와 자본잠식 상태였던 점에 정치권과 금융권의 유착 가능성도 도마 위에 올랐다. IMS가 확보한 투자금 가운데 46억원은 벤처기업 이노베스트코리아를 통해 재차 김예성씨 측 매출로 흘러들어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사내이사로 김씨 배우자가 등재돼 있던 이노베스트코리아가 차명회사로 의심받으면서, 편법·차명거래를 통한 이득 이전 의혹도 커지고 있다. 조 대표와 민 대표는 각각 32억원 상당의 배임 혐의도 받는다.
검찰은 이미 김예성씨를 48억원 횡령 혐의로 구속기소한 한편, 신병 확보가 이뤄지면 김예성씨 중심의 배임 혐의 구명과 김건희 여사와의 연관성 규명에 집중할 계획이다. 특검팀 관계자는 “이들의 신병이 확보되면 예상한 대로 순차적으로 필요한 수사가 진행될 걸로 생각한다”고 전했다.
정치권과 사회 일각에서는 이날 심사 결과에 따라 김건희 여사 본인 수사로까지 불똥이 튈 가능성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검팀의 추가 수사와 향후 재판 과정에 대한 논란 또한 이어질 전망이다.
이날 국회는 ‘집사 게이트’ 의혹을 두고 치열한 공방을 벌였으며, 특검팀은 신병 확보 시 추가 수사에 본격 돌입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