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감소지역 46곳에 쏘카존 신설”…쏘카, 교통 인프라 확충해 지역경제 지원
쏘카가 1일 전국 46개 인구감소지역에 신규 쏘카존을 설치해 교통 인프라를 강화하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로써 지방의 이동 편의와 지역경제 활성화 등 실질적 변화가 기대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민간 기업의 교통 서비스 확장이 지역 소멸 위기 대응의 새로운 모델이 될 수 있을지 주목하고 있다.
쏘카에 따르면 지난달 29일 세종컨벤션센터에서 행정안전부, 인구감소지역 지자체, 코레일과 함께 인구 유입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바탕으로 행안부 지정 인구감소지역 89곳 중 그간 쏘카 서비스가 미치지 않았던 옹진, 임실, 청양군 등 46개 지역에 신규 쏘카존이 설치된다. 쏘카는 차량 배치도 확대해 지역 주민들의 모빌리티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밝혔다.

이와 동시에 쏘카는 내년 8월까지 인구감소지역 쏘카존과 이 지역으로 이동이 잦은 수도권 거점 쏘카존을 대상으로 대여 요금 55% 할인 혜택을 제공한다. 업계는 실질적인 이동 편의성 향상뿐 아니라, 할인 정책 등으로 지역 방문객과 유입 인구 증가 효과도 기대된다고 본다.
쏘카 관계자는 “교통 인프라 개선은 지역 경제 활성화의 출발점”이라며, “인구감소지역을 포함해 전국 어디서든 자유로운 이동이 가능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민간 모빌리티 기업의 서비스 확장이 지역경제에 긍정적 변화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한다. 국회와 정부에서도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교통·주거·일자리 분야 지원대책을 이어가고 있다.
최근 정부는 인구감소지역 제도를 도입하며 2023년부터 각종 기업 및 공공서비스 확충을 유도했으며, 쏘카 등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전달 체계가 점진 확대되는 추세다.
향후 정책 효과는 인구 유입, 지역 교통 만족도, 경제 활력 등 다양한 지표의 변화를 통해 가늠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