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김건희 구속 후 첫 소환 통보”…특검, 건강 변수에 출석 여부 촉각
정치

“김건희 구속 후 첫 소환 통보”…특검, 건강 변수에 출석 여부 촉각

오태희 기자
입력

김건희 여사의 구속을 둘러싸고 특검팀과 김 여사 측이 다시 맞붙었다. 특검팀이 구속된 김 여사를 소환 조사하기로 하면서 한층 더 정치적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14일 예정된 첫 소환에 앞서 건강 이상을 이유로 김 여사 측이 출석 결정을 유보하면서 정치권과 여론 모두에 파장이 번지고 있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13일 언론 공지를 통해 14일 오전 10시, 김건희 여사를 서울 종로구 KT 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로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김 여사가 지난 12일 밤 구속된 이후 처음 이뤄지는 소환이다. 소환이 현실화되면 김 여사는 구치소에서 출정한 뒤 특검 사무실에서 본격 조사를 받게 된다.

앞서 서울중앙지법 정재욱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증거를 인멸할 염려가 있다”며 김 여사의 구속영장을 발부했다. 김 여사는 자본시장법 위반, 정치자금법 위반, 특정범죄 가중처벌법상 알선수재 등 주요 혐의를 받는다. 그러나 김 여사 측은 “건강 상태를 보고 출석 여부를 결정하겠다”며 소환 응답을 미루는 모습이다.

 

김 여사는 전날 구치소 수용 이후 식사를 거른 것으로 전해졌다. 김 여사 측은 구속적부심사 청구도 회의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법조계 관계자는 “특검팀이 구속영장 청구서에 포함되지 않은 ‘나토 목걸이’ 증거까지 제시한 만큼 법원이 이미 결정한 구속을 번복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법리 공방도 정점에 다다랐다. 김 여사 측은 영장 실질심사에서 “나토 목걸이 실물과 같은 새로운 증거 제출이 형사소송법상 당사자주의와 변호인의 조력권을 침해한다”고 항의했다. 반면 특검팀은 “재판부가 혐의 경위와 공범 여부를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하며, 법정에선 영장 기재와 별개로 증거 제출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정치권 안팎에선 김 여사 조사 방식과 적법성, 건강 사유 등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특검팀은 소환 일정을 유지한 채, 조사 준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에 따라 김 여사 측이 조사에 응할지, 법적 다툼이 장기화될지에 모든 시선이 몰리고 있다.

오태희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김건희#특검#구속적부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