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바이오

“AI가 선박까지 무인운항”…정부, 완전자율신기술에 예타 면제

서윤아 기자
입력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완전자율운항 선박 기술이 산업 지형을 바꾸고 있다. 정부가 예비타당성 조사(예타) 없이 사업 착수를 허용하며, 세부 연구개발(R&D)이 내년부터 공백 없이 진행된다. 해양수산부와 산업통상부가 공동 주관하는 이 사업은, 시급성과 정책적 필요성이 국무회의에서 인정돼 결정된 것이다. 업계는 이번 방침을 자율운항 선박 글로벌 경쟁의 분기점으로 평가한다.

 

정부가 예타 면제를 결정한 ‘AI 완전자율운항 선박 기술개발 사업’은, 국제해사기구(IMO)가 2032년까지 마련할 자율운항선박 국제표준을 겨냥한 국가 전략 프로젝트다. 우리나라 역시 지난 2020년부터 1603억 원을 투입해 레벨3(無승선 원격제어) 기술을 확보하는 등 표준 주도권을 공고히 해왔다. 차세대 사업은 레벨4(완전무인, AI 기반 자율운항) 기술 개발과 함께 무인 항해, 기관 자동화, 검인증·실증 등 전 주기가 대상이다. 특히 AI 기반 운항 판단·제어, 기계 학습 적용 엔진, 실시간 해상 위험 예측―이런 영역에서 운항 안정성·효율성이 크게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기존 원격 운항 방식과 달리, 레벨4 기술에서는 선원 개입이 전혀 없는 완전 자율화가 실현된다.

적용 분야 역시 해운 물류 자동화, 조선 기자재 스마트화 등 광범위하다. 사용자인 선사 입장에선 안전 및 비용 절감, 운항 최적화 효과가 크다는 설명이다. 국가적으로는 글로벌 해운 규제 변화에 신속히 대응하는 선도력이 핵심 경쟁요소로 떠오른다. 미·일·중국도 군사 및 상업용 무인선을 추진 중이지만, 이미 한국은 국제표준 개발 참여 및 상용화 단계에 진입한 점에서 강한 우위를 확보한 셈이다.

 

다만 국제해사기구의 엄격한 기술 검증, 각국의 안전·운항 규정, 데이터 보안 등은 상용화의 관건이다. 정부는 행정절차 신속화와 공동 검인증 체계 구축도 병행한다는 계획이다.

 

동시에 이번 국가 R&D 전략의 핵심축인 ‘미래 판기술 프로젝트’도 예타 면제로 대규모 예산이 투입된다. 총 3026억 원(11년간)을 바탕으로 생산 자동화·로봇, 반도체·디스플레이, 에너지, 바이오·의료, 모빌리티 등 5대 분야 중심의 10대 R&D 과제가 곧 공모된다. 산업 휴머노이드 상용화, AI신경망 반도체, 인공장기 등 실질적 산업 전환 기술이 주요 대상이다. 전담팀을 통해 기술 개발-실증-상용화 전 단계를 집중 지원할 계획이다.

 

박인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국가 성장동력으로 이어질 미래 핵심 기술에 과감하게 투자하겠다”며, “과학기술이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산업계는 완전자율운항선박 등 신기술이 실제 해운·조선 시장에서 안착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기술과 규제, 산업 구조 재편이 긴밀히 맞물리는 과도기가 지속될 전망이다.

서윤아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정부#ai자율운항선박#판기술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