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용여권, 대통령기 사적 이용 의혹”…김건희특검, 이원모 전 비서관 배우자 소환 조사
나토 정상회의 대통령기 탑승 논란과 관련해 김건희 여사 사적수행 의혹을 둘러싼 정치권 갈등이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29일 오전, 민중기 특별검사팀은 이원모 전 대통령실 인사비서관의 배우자 신모 씨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에 착수했다.
신 씨는 2022년 6월 스페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 정상회의 당시 대통령 전용기인 공군 1호기에 민간인 신분으로 탑승한 인물이다. 직책이 없음에도 기타 수행원 명목으로 관용여권을 발급받고, 대통령실 관계자들과 사전 답사에도 참여한 사실이 알려지며 ‘비선’ 의혹, 김건희 여사 사적수행 논란이 불거졌다. 이에 대해 특검팀은 신 씨가 해당 여권을 어떻게 발급받았고, 누가 탑승을 승인했는지 경위 파악에 주력하고 있다.

아울러 특검팀은 신 씨가 대표로 있던 자생바이오의 90억 원 대여 및 회계 처리 내역도 조사 중이다. 자생바이오가 신 씨 가족회사인 제이에스디원으로부터 약 2년간 90억 원을 장기 대여받았으나, 청산 과정에서 해당 금액이 장부상 제거된 점이 비자금 의혹의 단초로 지목됐다. 일부 자금이 2021년 대선 예비후보였던 윤석열 당시 후보에게 2천만 원 상당 후원금으로 흘러간 정황, 대선 기간 60억 원이 집중적으로 대여됐다는 의혹도 특검의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정치권에서는 신 씨 부부와 윤 전 대통령의 오랜 인연, 신 씨 배우자인 이 전 비서관이 과거 윤석열 대선 캠프 법률지원팀에 참여하고 국민의힘 공천을 받는 과정까지 문제 삼고 있다. 특히 작년 총선에서 이 전 비서관이 국민의힘 예비후보 5명을 제치고 전략 공천을 받은 데 윤 전 대통령 측의 개입이 있었다는 주장에 대해 특검은 향후 추궁 수위를 높일 예정이다.
이번 특검 소환조사에 대해 여야 정치권은 강경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일부 야당 인사는 권력형 비선 사적 운영 구조를 거론하며 전면 수사 확대를 촉구했고, 국민의힘 측에서는 일방적 비방과 정치적 의도를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았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관용여권 악용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대통령실 관리 체계에 대한 신뢰마저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둘러싼 수사는 특검의 추가 소환, 압수수색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게 점쳐진다. 정치권은 특검팀 수사 확대 여부에 촉각을 세우며 여야 간 대립 전선을 다시금 형성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