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선우 임명 강행해도 장관 인정 불가”…국민의힘, 청문보고서 채택 놓고 내부 갈등
보좌진 갑질 의혹으로 촉발된 국회 인사청문 정국에서 국민의힘과 이재명 정부가 정면으로 맞붙었다. 국민의힘은 7월 21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임명되더라도 장관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국회 비상대책위원회 직후 “강선우 여가부 장관을 전제로 한 어떠한 행동에도 협조하지 않겠다”고 강조했다. 각종 상임위와 본회의 등 모든 의정 무대에서 강 후보자를 장관으로 취급하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박 대변인은 “다양한 상임위, 국회 본회의 등에서 장관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부연하며 인사청문회를 마친 장관 후보자에 대한 청문보고서 채택 여부도 당 지도부 논의 후 방침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앞서 국민의힘은 이재명 정부 내각 인사의 청문보고서 채택을 집단 거부해왔지만, 대미 통상 협상과 폭우 수해 복구 상황 등 국익과 현안을 감안해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외교부,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청문보고서 채택에 협조한 바 있다. 그러나 강선우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만큼은 결코 용납하지 않겠다는 내부 기류가 강하다.

한편 국민의힘은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운동으로 알려진 한국사 강사 전한길 씨의 6월 입당을 두고도 신속 대응에 나섰다. 전한길 씨가 과거 비상계엄 옹호 등 당헌당규 위반 소지가 있는 언행을 했는지 중앙당과 서울시당이 면밀히 조사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박성훈 수석대변인은 “우리 당은 비상계엄에 반대해 왔는데, 전씨가 옹호한 전력이 있다면 당 지향점과 상충된다”고 말했다. 다만 전한길 씨가 8월 22일 예정된 전당대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거나 특정 당대표 후보와 연대할 경우의 제재 방침에 대해서는 “종합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을 아꼈다.
이날 예정됐던 당 혁신위원회 쇄신안 논의 역시 상당수 의원들의 수해 복구 현장 참여 등 이유로 순연됐다. 당내 쇄신 방향과 인사청문 정국, 전당대회 이슈가 맞물리면서 국민의힘은 한층 복잡한 정국을 맞이하고 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청문보고서 채택 및 당내 인사 관리 방침 등 주요 정치 현안을 두고 추후 논의에 들어갈 계획이다. 정치권은 강선우 후보자 임명과 국민의힘의 강경 대응을 둘러싼 갈등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자 당분간 여야 간 대립과 내부혁신 논쟁이 거세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