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 개척, 해운산업 도약 기회”…해양진흥공사, 금융·정보 지원체계 본격 추진
북극항로 개척을 두고 해운산업의 미래 전략이 주요 정치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금융·정보 지원체계 마련에 착수했다고 23일 공식 밝혔다. 급격한 기후 변화와 해빙 현상으로 북극항로의 상업적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정부와 업계 모두 북극 진출을 위한 선제적 대응에 나선 것이다.
해진공은 오는 25일 국회에서 열리는 ‘북극항로 개척방안 및 선결과제 점검 토론회’를 통해, 북극항로의 상업 운항에 필수적인 쇄빙선 확보와 운항 인프라 구축 등 실질적인 재원 마련 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다. 동시에 항로 운항의 경제성·안정성·인프라 확보 등 복합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 방향도 제안한다는 계획이다.

문대림 더불어민주당 의원(제주시 갑)이 주최하고 해진공이 주관하는 이번 토론회는 해운업계, 학계, 정책 관계자들이 함께 현장 의견을 논의하는 자리다. 북극물류연구소 홍성원 소장과 함께 팬오션, HMM, 폴라리스쉬핑 등 주요 해운사가 발제자로 나서, 북극항로 운송 현황과 지정학적 이해관계, 금융 지원 수요 등을 심층 분석할 예정이다.
해양진흥공사 안병길 사장은 “북극항로 개척은 단순한 항로 확보를 넘어 우리 해운산업의 전략적 도약 기회”라며 “금융·정보·네트워크 등 역량을 총동원해 북극항로 시대를 선도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민관 협력 필요성도 거듭 강조했다.
정치권에서도 북극항로 확보가 국가 해운산업뿐 아니라 에너지 및 공급망 다변화와도 관련된 핵심 의제임을 인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회 차원의 정책 지원 논의도 본격화되는 분위기다. 25일 국회 토론회에서 전문가 및 업계의 논의 결과가 향후 정부 정책 및 예산 편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정부와 정치권, 그리고 업계는 북극항로 지원 체계 구축에 속도를 내겠다는 입장이다. 국회는 토론회 이후 관련 법안 심사 및 예산 논의를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