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북한, 이재명 정부 평화 메시지에 화답 가능성”…조현 외교부 장관, 신호 감지 강조

이예림 기자
입력

남북 대화 가능성을 둘러싸고 외교부가 신중한 낙관론을 내비쳤다. 북측이 국제무대 파견과 함께 대화 메시지를 내놓는 가운데, 이재명 정부와 조현 외교부 장관이 핵심 평화 전략을 재확인하며 긴장완화 분위기에 힘을 싣고 있다. 한편, 미일 간 관세 협상 등 한미·한일 경제 외교 이슈를 두고 우리 정부의 원칙적 대응도 강조됐다.

 

29일 조현 외교부 장관은 MBC 뉴스데스크 인터뷰에서 “북한이 이재명 정부가 보내온 평화 메시지에 화답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조현 장관은 “북한의 유엔총회 대표단 파견 등 최근 행보는 국제사회와의 대화 의지를 내비치는 것”이라며, “우리가 남북 간 군사적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쌓아 평화 정착을 추구하겠다는 메시지에 대해 북측이 반응할 수도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어 조 장관은 “실제로 작은 움직임이 포착되고 있다”며,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계기 북미대화 등 다양한 시나리오를 염두에 두고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미국과의 관세 협상 과정에서도 국익을 해치는 비합리적 요구는 수용하지 않을 방침”이라며, “원칙을 견지해 협상을 이어가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미일 간 이미 타결된 관세 협상으로 한국이 불리해졌다는 지적엔, “일본이 먼저 협상에 나서며 우리가 더 어려워졌다고 할 수도 있지만, 오히려 우리가 해서는 안 되는 선택을 일본이 보여줬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여기엔 상반된 평가 속에서도 우리 정부의 노선은 변하지 않는다는 방침이 담겼다.

 

조 장관은 “각국 외교 장관들이 대한민국의 민주주의 회복과 국제사회 정상 복귀를 축하해줬다”고 전하면서, 외교 현장에서 자리매김한 변화를 실감한다고 밝혔다.

 

북한의 대화 의향과 외교 수위 변화, 경제 외교 국면을 둘러싼 신호가 복합적으로 표출된 이날 발언에 정치권의 촉각이 곤두서고 있다. 정부는 향후 남북 및 북미 대화 가능성, 경제 현안 협상 진행상황을 면밀히 주시하며 대응에 나설 계획이다.

이예림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조현#이재명정부#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