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축구 전설 집결, FC온라인 이색 매치”…넥슨, 굿즈 시장도 진출
IT/바이오

“축구 전설 집결, FC온라인 이색 매치”…넥슨, 굿즈 시장도 진출

한채린 기자
입력

온라인 축구게임 시장을 선도해온 넥슨이 굿즈 사업과 글로벌 축구 스타 마케팅을 결합, e스포츠가 오프라인 문화와 상업적 플랫폼으로 진화하는 흐름을 보여주고 있다. 9월 13~14일 서울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리는 ‘2025 아이콘매치: 창의 귀환, 반격의 시작’에 맞춰, ‘EA SPORTS FC 온라인’, ‘FC 모바일’ 시리즈와 연계한 공식 굿즈 판매가 14일부터 시작됐다. 업계에선 이번 행사를 게임사 주도의 팬덤 라이프스타일 확장 전략의 본격 신호로 본다.

 

넥슨은 행사 테마인 ‘창과 방패(FC 스피어, 실드 유나이티드)’ 이미지를 바탕으로 특별 제작한 유니폼, 바람막이, 모자 등 브랜디드 굿즈와 머플러, 짐색, 키링 등 소장용 아이템을 KREAM 리셀 플랫폼과 현장에서 병행 판매한다. 굿즈 구매 기간은 8월 14일부터 9월 5일이며, 현장 구매는 경기 이틀(9월 13~14일)로 기획됐다. 특히 이번 굿즈 컬렉션은 이벤트 관람 경험과 인증 문화, 수집가들의 재판매 시장을 고려해 디자인 및 판매 방식이 특화된 것이 특징이다.

‘2025 아이콘매치’에는 브라질의 호나우지뉴, 카카 등 국제적 스타들이 ‘FC 스피어’ 멤버로, 마이콘, 솔 캠벨, 마켈렐레 등 레전드들이 ‘실드 유나이티드’ 팀에 합류한다. 양일간 ‘1대1 대결’, ‘커브 챌린지’ 등 참신한 이벤트 매치와 11대11 메인 경기가 이어진다. 게임 유저를 넘어 실물 축구팬, 굿즈 수집가 등 다양한 집단의 현장 이목을 모으는 방식이라는 점에서 e스포츠 산업의 콘텐츠 소비 행태 변화도 주목된다.

 

해외에선 이미 유럽 빅클럽 및 e스포츠 구단들이 오프라인 대형 행사와 굿즈·콜라보 상품을 연계, 팬 충성도를 높이고 신규 매출 채널을 창출하는 트렌드가 확산돼왔다. 넥슨 또한 리셀 플랫폼 협업 및 글로벌 레전드 선수 섭외를 통한 범세계적 화제성을 확보하는 한편, 국내 e스포츠 사업 모델 다양화 가능성을 열고 있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게임업계가 IT플랫폼 기업을 넘어 스포츠 엔터테인먼트, IP기반 소매 유통까지 영향력을 확장하는 흐름이 분명해지고 있다”며 “굿즈와 오프라인 경험의 결합이 e스포츠와 실물 시장을 잇는 가교가 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산업계는 넥슨이 주도하는 게임+스포츠+굿즈 결합 모델이 국내 팬덤 마켓과 이벤트 산업 전반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채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넥슨#호나우지뉴#아이콘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