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고정밀 전자지도 인프라 확보”…성남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 도약→첨단 미래전략
자동차

“고정밀 전자지도 인프라 확보”…성남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 도약→첨단 미래전략

장예원 기자
입력

성남시는 국토교통부의 ‘고정밀 전자지도 구축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돼 국비 11억원을 확보했다고 23일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번 사업은 미래 도시의 핵심 인프라로 각광받는 정밀 공간정보를 활용해 가상 모형,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등 다양한 미래 모빌리티 기반을 구축하려는 국가적 프로젝트다. 시는 국비와 시비 등 총 22억원을 투입해 내년 2월부터 11월까지 첨단 공간정보 인프라 조성과 도시 안전성 강화를 위한 핵심 디지털 인프라 구축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서 성남시는 1cm 단위의 정밀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한 도시정책의 과학화와 함께 도시 안전성 확보, 미래 모빌리티 기반 조성, 그리고 공공 데이터 개방 활성화에 주력한다. 특히 모바일 매핑 시스템(MMS), 항공 및 수심 라이다(LiDAR), 초분광영상 등 가장 진보한 측량기술을 도입해, 2018년 이후 갱신되지 않았던 1/1000 수치지형도와 정밀 도로지도를 최신화한다. 이를 통해 실제와 동일한 3차원 공간정보가 구현되며, 운송환경의 급격한 혁신을 이끄는 토대가 마련될 전망이다.

고정밀 전자지도 인프라 확보…성남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 도약→첨단 미래전략
고정밀 전자지도 인프라 확보…성남시, 스마트 모빌리티 도시 도약→첨단 미래전략

아울러 자율주행과 도심항공교통(UAM) 실증을 위한 ‘HCMI 맵(Human·Computer·Machine Interaction Map)’을 도입, 도로 및 교통 요소를 정밀하게 반영할 수 있는 다차원적 경로 관리 체계를 구축한다. 탄천 구간에는 항공수심라이다를 통해 3차원 하천 정보가 구축되며, 초분광영상을 활용한 식생지도·조류농도지도가 제작됨으로써, 홍수나 녹조 등 환경재난에 대한 대응 역량도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공간정보 인프라 사업이 단순한 데이터 구축을 넘어, 성남시가 미래 지향적 도시정책과 모빌리티 혁신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성남시 관계자 역시 “첨단 공간정보 인프라는 시민 중심의 스마트 행정 실현과 데이터 기반 정책 결정, 도시 문제 해결 역량을 갖춘 핵심 자산”이라며, 정밀 디지털 지도 기술이 향후 성남시를 미래 모빌리티 중심도시로 이끌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축된 데이터와 시스템은 하천 관리, 생태 모니터링, 재난 대응 등 폭넓은 행정 분야에 활용될 예정이며, 성남시 사례는 국내·외 미래 도시 모델의 하나로 주목받을 전망이다.

장예원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성남시#국토교통부#전자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