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대금 반토막에도 비트코인 강세”…국내외 가상자산, 미 증시와 연동 움직임 뚜렷
현지시각 11월 16일, 국내 주요 코인거래소에서 가상자산 거래대금이 전일 대비 절반 이상 급감하는 등 단기 변동성이 확대됐다.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국내 4대 거래소의 최근 24시간 거래액은 2조 8,415억원으로 집계돼 54.8% 줄었고, 이는 미국(USA) 증시 혼조와 국채금리 등 대외 변수에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조치는 미국의 기술주 약세와 달러 강세가 위험자산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한편, 디지털 자산 시장도 연동해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종목별로는 대응 양상이 나뉘었다. 업비트 기준 거래액 상위 10위권 종목 중 리플 XRP는 거래량 1위(2,754억원)를 기록했으나 가격은 0.76% 하락했고, 비트코인은 0.44% 상승, 이더리움은 1.04% 반등했다. 도지코인은 2.92% 오르며 시세 반등 폭이 컸고, 라그랑주·그로스톨코인·파일코인 등 알트코인 강세가 두드러졌다. 테더와 리스크 등은 약보합권에 머물렀다. 빗썸 역시 테더·리플 XRP·비트코인 등 메이저 코인이 거래 상위권을 차지했으며, 알트코인 투기적 매수세가 단기간 집중되는 모습이 확인됐다.
![[그래프] 국내 코인거래소 하루거래액 추이](https://mdaily.cdn.presscon.ai/prod/129/images/20251116/1763247381573_529440536.jpg)
한편 국제 시장에서는 시가총액 기준 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 리플 XRP, 비앤비, 솔라나, 유에스디코인 등이 상위를 유지했다. 글로벌 거래 비중에서는 비트코인에 대한 미국 달러 결제가 88.59%로 압도적이며, 일본 엔, 한국 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이는 미국 금융시장과 정책 변화가 국내외 가상자산 수요를 좌우하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업비트 기준 비트코인은 15일 1억 4,424만원에 0.44% 올랐다. 이더리움은 478만 1,000원(1.12% 상승), 도지코인은 247원(2.92% 상승), 파이코인은 316.5원(0.75% 상승)을 기록했다. 그러나 리플 XRP는 3,379원으로 0.94% 하락해 최근 저점 대비 상승폭은 제한적인 모습을 보였다.
특히 최근 1주일간 거래대금이 급증한 리스크·유니스왑·라그랑주·그로스톨코인 등의 강세 흐름과 리스크의 29%대 급등 사례는 변동성 환경에서 투자자들이 저가 알트코인에 단기 베팅을 늘리고 있음을 시사한다. 미국 증시와 국채금리 등 거시 변수에 따라 위험자산 선호가 출렁이는 만큼, 비트코인 주요 지지선 이탈 또는 도지코인 등 급등 알트코인에 대한 과열 조짐에도 주의가 요구된다. 거래량이 급감하는 상황에서는 가격 변동폭이 확대될 수 있어, 신중한 투자전략과 포지션 관리가 필수적이라는 조언이 이어지고 있다.
이번 단기 변동성 확대가 글로벌 시장에 어떤 영향을 지속적으로 미칠지, 특히 미국 달러 결제 중심 구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에 시장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