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한미관세 협상 총력전”…이재명, 트럼프 서한에 조기 정상회담 추진
정치

“한미관세 협상 총력전”…이재명, 트럼프 서한에 조기 정상회담 추진

강민혁 기자
입력

관세 인상 논란을 둘러싸고 한미 양국의 긴장이 고조된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협상 서한’을 직접 받은 직후 대통령실과 정부가 총력 대응에 나섰다. 이 대통령은 관세 부과 유예라는 극적인 협상 시간을 확보한 상황에서, 남은 3주간 관세율 인하와 7월 내 한미정상회담 성사에 정권의 명운을 걸고 있다.

 

8일 새벽,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재명 대통령 앞으로 ‘관세협상 서한’을 전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서한에서 한국산 제품에 적용될 25% 상호관세 부과 시점을 9일에서 8월 1일로 연기하겠다고 통보했다. 관세율은 기존과 동일했으나, 부과 시점이 3주 유예됐다. 이에 대통령실은 곧바로 김용번 정책실장 주재로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외교부 등 각 부처 관계자들을 소집해 대책회의에 착수했다.

대통령실은 SNS 반응과 추가 협상 시간이 확보된 사실을 동시에 언급하며, “오늘 오후 1시 30분 관계부처 대책회의를 연다”고 밝혔다.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제3차장, 윤성혁 산업정책비서관이 현안 대응에 나섰고,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역시 합류했다. 이 대통령은 현지에 파견된 위성락 안보실장을 통해 미국 내 협상 동향을 실시간 공유받으며, 한미정상회담 조기 추진과 관세율 조정에 모든 역량을 쏟고 있다.

 

대통령실 내부에서는 지금이 한미 통상 협상을 유리하게 이끌 ‘골든타임’이라는 판단 속에, 비공식 채널까지 총동원하는 조직적 전략이 전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양국 통상 협상이 유동적으로 변화할 수 있어, 전방위적 예측과 준비에 나서고 있다”고 말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과 동시에 주요 통상 현안을 직접 챙기며, 임기 초기 국정 동력 확보 의지를 여러 차례 피력한 바 있다. 실제로 국가안보실 1∼3차장 중 2명을 외교관 출신으로 임명하는 등, 통상·외교 라인 강화 움직임이 노골적으로 포착된다. 대통령실은 “이달 중 정상회담이 이루어질 경우 실무 막바지에서 고전 중인 관세 협상에 돌파구가 마련될 수 있다”며 조기 정상회담 개최에 기대감을 내비쳤다.

 

한편, 위성락 안보실장은 전날 워싱턴DC에서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조속한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상호호혜적 해법을 찾자”는 의사를 전달했다. 미국 측도 긍정적으로 화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관세가 예정대로 시행될 경우 한국 경제와 국정 운영에 타격이 불가피한 만큼 정부 내 위기감이 팽배하다. 야권도 “외교 협상 실패가 곧 경제 위기로 직결된다”며 강하게 경계하고 나섰다. 경제계와 전문가들 역시 “향후 협상 과정에서 실질적 관세 인하 방안이 이끌어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앞으로의 한미 협상 결과가 현 정권 초반 동력을 가늠할 바로미터로 떠오른 가운데, 대통령실은 한미정상회담 일정 조율과 관세율 협상에 전력을 다한다는 방침이다. 정치권은 이번 사안을 두고 연일 치열한 공방을 이어가며, 한미 외교 현안이 정국의 최대 변수로 부상하고 있다.

강민혁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재명#트럼프#관세협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