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국민청원 60만 명 동의”…이준석 의원, 제명 요구에 정치권 파장
정치

“국민청원 60만 명 동의”…이준석 의원, 제명 요구에 정치권 파장

윤선우 기자
입력

이준석 개혁신당 의원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정치권 전체를 흔들고 있다. 국민동의청원 시스템을 통한 ‘이준석 의원 제명’ 요구에 이례적으로 60만 명이 넘는 시민이 동참하면서, 정국이 다시 논란의 중심에 섰다. 해당 청원 참여 수치는 과거 대통령 탄핵 국민청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커다란 규모로, 정치적 상징성 역시 한층 뚜렷해졌다.

 

논란의 불씨는 지난 5월 27일 대선 후보 TV토론에서 이준석 의원이 타 후보를 겨냥해 사용한 폭력적 표현에서 비롯됐다. 그의 발언은 여성 신체를 대상으로 한 기존 관념까지 건드리며 곧바로 시민사회와 여성단체 등 각계의 비판을 촉발했다. 발언의 파장이 커지자 사회 각층은 성역할·인권 존중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취임선서식 참석한 이준석 의원 / 연합뉴스
취임선서식 참석한 이준석 의원 / 연합뉴스

2일 오후 기준, 국민동의청원 시스템 내 ‘이준석 의원 제명’ 청원 참여자는 60만 명에 달했다. 지난해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청원에 이어 역대 두 번째 규모다. 국민동의청원은 5만 명 이상의 동의를 넘길 경우 국회 소관위원회에 자동 회부되지만, 실제 의원직 제명에 이르려면 다수의 국회 내 절차가 걸림돌로 남아 있다.

 

TV토론 직후 이준석 의원은 선거대책본부 해단식에서 “불쾌감을 느끼신 분들이 있음을 예측하지 못했다”며 고개를 숙였다. “같은 상황이라면 그렇게 발언하지 않았을 것”이라고도 밝혔으나, 각계의 비판 여론은 계속됐다. 일부 시민단체에서는 ‘피상적 사과’에 불과하다는 반응이 나왔고, 더 높은 수준의 정치적 책임을 요구하는 의견이 이어졌다.

 

정치권 내부도 빠르게 반응했다.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기본소득당, 진보당 등 소속 의원 21명이 징계안을 공동 제출하며, 국민적 논쟁 지점이 국회 윤리특위로까지 번졌다. 이들 의원은 “국회의 품위를 심각하게 훼손한 행위”라고 규정하고, 성평등과 인권 차원에서 국회의 명확한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그러나 국회의원의 제명은 윤리특위의 심사, 본회의 의결 등을 거쳐야 하며, 재적 의원 3분의 2 이상 동의라는 높은 문턱이 존재한다. 실제 청원이 의원직 제명까지 직결될 가능성은 적지만, 이번 사건이 정치적 책임과 윤리 기준을 환기하는 계기가 된 점은 분명하다.

 

이번 논란은 이준석 의원의 향후 정치적 진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다양한 방식의 압박이 이어지면서, 국회 내 세대교체나 정치 갈등의 재편으로까지 논의가 확산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현재의 강한 책임 요구에 맞춰, 국회 차원의 징계와 논의가 불가피해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정치권은 이번 사안에서 감정과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만큼, 정치문화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준석 의원이 어떤 방식으로 정치적 변화를 실질적으로 보여줄지, 그리고 국민청원이라는 새로운 압력 수단의 역할이 어떻게 규정될지 주목된다.

윤선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이준석#국민동의청원#국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