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지자체와 손잡고 탄소순환 플랫폼”…한국바이오협회, 차세대 화이트바이오 생태계 구축 나선다
IT/바이오

“지자체와 손잡고 탄소순환 플랫폼”…한국바이오협회, 차세대 화이트바이오 생태계 구축 나선다

강예은 기자
입력

탄소순환 플랫폼 기술이 화이트바이오 산업 전반의 혁신을 이끌 전망이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추진하는 ‘2025년도 탄소순환플랫폼’ 사업의 총괄주관기관으로 선정돼, 국가 차원의 전주기 탄소순환 시스템 구축에 돌입한다고 8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글로벌 탄소무역규제 강화에 대응하며, 지역 기반 실증모델 확장을 노리는 첫 대형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이번 사업은 정부지원금 172억원 투입, 총 5년간 14개 기관이 참여하는 대규모 협력 프로그램이다. 세부적으로는 생분해성 바이오산업제품 수거·선별 시스템, 바이오가스화 공정, 바이오플라스틱 및 퇴비화공정, 탄소순환 전과정 평가기술 등 전주기 기술이 망라됐다. 기술적 핵심은 바이오제품의 생산부터 폐기‧재활용, 탄소 배출저감에 이르기까지 각 과정의 탄소흐름을 데이터 기반으로 검증하는 점이다. 기존 단일공정 대비, 이력 관리와 실증 데이터 축적을 대폭 고도화하는 방식이 특징이다.

실질적 적용에서는 서산, 시흥 등 지방자치단체 공공시설과 축제현장을 거점으로 한 시범사업이 추진된다. 협회는 기업, 연구기관, 지자체 등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실효성 높은 실증 및 사업모델 고도화에 주력한다. 국내 화이트바이오 산업은 적용 분야가 화학, 자원순환, 농업 등으로 확장 중이라, 수요·공급자 모두 적극적 기술 이전과 정책 지원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특히 이번 기술은 기존 민간 차원의 개별 화이트바이오 프로젝트와 달리, 정부와 지자체, 산학연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글로벌 탄소무역규제에 선제 대응하는 데 중점을 둔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도 바이오 기반 탄소저감 기술의 국가별 표준화 작업이 확산되는 추세로, 한국형 탄소순환 플랫폼의 글로벌 적용 가능성도 타진된다.

 

제도 측면에서는 산업부 주도로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사업관리를 맡고, 시범사업 결과를 기반으로 환경부, 지방정부 협력 하에 규제 합리화나 정책 연계 방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대규모 실증사업의 경우 데이터 수집과 개인정보 이슈, 산업별 인증기준 정립 등 후속과제가 남아 있어 기관 간 조율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윤정준 한국바이오협회 수석연구원은 “화이트바이오 산업에서 탄소순환플랫폼과 같은 한국형 성공모델을 구축, 정부·지자체·산업계가 시너지를 내면 글로벌 경쟁력 확보도 기대된다”고 전했다. 산업계는 이번 기술이 실제 시장에 안착할 수 있을지 주시하고 있다.

강예은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한국바이오협회#탄소순환플랫폼#화이트바이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