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관세 협상, 국익 최대화 총력”…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미국 방문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 시한을 앞두고 한미 간 통상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여한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한국 국익 극대화를 목표로 22일 미국으로 출국했다. 한미 양국이 자동차와 철강 등 주요 품목 관세 인하 문제를 두고 분수령에 선 형국이다.
이날 산업통상자원부는 여한구 본부장이 인천공항을 통해 미국 워싱턴 DC로 출국했으며, 워싱턴에서 미국 주요 정부 당국자들과 관세 협상에 임한다고 밝혔다. 여 본부장은 오는 25일에 열리는 '2+2 고위급 관세 협의'에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과 함께 한국 대표로 참석한다. 미국 측에서는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 무역대표부대표가 협상에 나선다.

여한구 본부장은 미국 도착 직후부터 미 정부와 의회 핵심 인사들을 만나 25% 상호관세 인하, 특히 자동차·철강 등 민감 품목의 관세 조정 필요성을 강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밝힌 8월 1일 상호관세 부과 경고의 대응 차원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정부는 협상 시한에 쫓겨 국익이 훼손돼서는 안 된다는 원칙 아래, 8월 1일 이전까지 최선의 결과를 도출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통상추진위원회, 대외경제장관회의 등 다양한 정부 회의체가 최근까지 협상 전략을 조율해 왔다.
여한구 본부장은 이날 출국 전 “현재 매우 엄중한 시기다. 우리에게는 최선과 최악의 시나리오 등 모든 가능성이 열려 있는 만큼, 정부는 민감 사항을 최대한 반영해 국익을 극대화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한미 제조업 르네상스 파트너십을 토대로, 관세 협상이 대미 투자·구매 확대와 새로운 성장동력 창출로 이어지는 포지티브섬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정치권과 산업계는 한미 통상 협상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관세 협상 타결 여부에 따라 주요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상당할 것으로 예상되며, 정부는 미국 측과 균형 있는 이익 공유를 도모하겠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향후 협상에서 양국 모두가 실질적 이익을 체감할 수 있도록 포괄적 해법을 마련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