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도피 정황 포착”…특검, 김건희 집사 여권 무효화 등 강경 조치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소위 ‘집사 게이트’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 여사의 ‘집사’로 지목된 김모씨의 해외 도피 정황을 공식 확인하며, 여권 무효화 등 강경 조치에 착수했다. 7월 9일 문홍주 특검보는 정례 브리핑을 통해 “김씨의 도피 및 증거인멸 시도 정황이 포착돼 신속히 수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특검팀은 김씨가 지난 4월 해외로 출국한 뒤 귀국하지 않고 있고, 그의 사무실 및 가족의 주거지까지 모두 옮겨진 사실, 일부 관계인들이 휴대전화를 교체·자료 삭제를 한 점 등 추가 증거인멸 우려가 높아졌음을 확인했다. 이에 따라 임의제출 등 다양한 방식의 증거 확보와 함께 여권 무효화, 인터폴 공조 등 강제적 행정 처분도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수사의 핵심은 김씨가 코바나컨텐츠 감사로 있으면서 대기업으로부터 180억 원대 투자 자금을 유치하는 과정과 도이치모터스로부터 BMW 차량 50대를 지원받아 렌터카 업체인 IMS로 사업을 추진한 배경,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특혜 의혹 규명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특검팀은 “기업들의 투자 경위와 특혜성 여부를 끝까지 밝혀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김씨는 서울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재학 중 김 여사와 인연을 맺고 코바나컨텐츠에서 일해 온 인물로, 김 여사의 모친 통장 잔고증명 서류를 위조한 혐의로 유죄판결을 받은 이력도 확인됐다. 이러한 전력까지 더해지며 수사의 실체 규명 필요성이 더욱 커지는 모양새다.
특검팀은 법원에 특검법상 수사대상임을 충분히 소명한 뒤 압수수색 영장 재청구 등 강제수사 방안도 검토 중이며, 기업과 금융회사를 통한 자금 흐름 등 복잡한 배경과 오너리스크, 기존 정치·경제권력과의 유착 가능성까지 넓은 범위에서 추가 조사에 나서고 있다.
이번 사건은 대규모 투자금의 흐름, 고의적 증거 인멸 정황과 함께 사회적으로 ‘집사 게이트’ 논란을 확산시키고 있다. 시민단체와 각계에서는 투명한 진상 규명과 철저한 제도 개선 요구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수사 당국은 앞으로 인터폴 등 국제적 공조 체계와 자산 은닉 가능성 조사 등 다각적인 대응으로 실체 규명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경찰과 특검팀은 관련 기록과 자료 확보에 총력전을 이어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