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관급 6곳 새 인선”…이재명 대통령, 교육·여가부 등 후보자 대거 지명
정치권의 인사 쇄신 움직임이 분주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13일 교육부와 여성가족부를 비롯한 장관급 6개 부처·기관장 후보자를 동시 지명하며 본격적인 정국 구도 변화에 나섰다. 인사 대상에는 교육, 공정, 금융 등 핵심 부처가 대거 포함되면서 정치권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오후 공식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교육부 장관 후보자로 최교진 현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교육감을,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원민경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을 각각 지명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에는 주병기 서울대학교 경제학부 교수가, 금융위원장 후보에는 이억원 전 기획재정부 1차관이 각각 선정됐다.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장 자리에는 차정인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가 내정됐으며,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에는 김호 단국대학교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가 위촉될 예정이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각 후보자들의 전문성과 혁신성이 높이 평가됐다”며 “국정 쇄신과 정책 실행력을 극대화하기 위한 인선”이라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이 대규모 인선을 단행한 배경에 대해 여권에서는 정책 추진의 효율성과 현장 중심 국정 운영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반면, 야권과 일부 시민사회에서는 교육·여성 정책 등 현안과 연계된 신중한 검증 절차가 요구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실제로 각 후보자의 전문성, 국정 철학, 이해관계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 과정이 향후 정국의 또 다른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정치권 인사 구조 조정은 정부 정책 방향과 직결되는 만큼 총선·대선 등 미래 정치 구도의 선제적 구상이라는 해석도 제기된다. 한편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은 후보자별 도덕성과 전문성, 검증 투명성 등을 놓고 본격적인 검증 공방을 예고한 상태다. 전문가들은 “이번 인선은 정책 전환기의 메시지”라며 “청문회 국면에서 정국 긴장감이 고조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부는 각 인선에 따른 인사청문회를 거쳐 공백 없는 국정 운영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치권은 향후 청문회 일정에 맞춰 치열한 검증과 논의에 들어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