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호, 국회 계엄 해제 의결 방해 의혹”…내란특검, 국회사무처 첫 강제수사
국회 계엄 해제 의결을 둘러싼 파문이 정치권을 강타했다. 내란·외환 등 국가적 중대 사안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사무처에 대한 압수수색에 착수하면서 여야 간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검이 국회사무처를 직접 압수수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피의자 신분에는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인 추경호가 명시됐다.
이날 압수수색은 '국회 계엄 해제 의결 방해 의혹'과 직접 연관돼 있다. 특검팀은 국회 본청의 폐쇄회로(CC)TV 자료와 각종 회의 관련 문서 등을 확보하기 위해 현장에 투입됐다. 압수수색영장에는 추경호 전 원내대표가 계엄 해제 의결 방해 주체이자 피의자로 적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수사의 핵심은 지난해 12월 3일 비상계엄 선포 직후의 상황이다. 당시 여야는 계엄 선포 대응을 두고 극심한 대립을 이어가던 중, 추경호 전 원내대표 등은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의 요청을 받은 뒤 의원총회 장소를 수차례 변경해 다른 국민의힘 의원들의 표결 참여를 어렵게 만들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실제로 추 전 대표는 비상 의원총회 소집 장소를 반복적으로 국회와 여의도 당사로 바꾼 사실이 드러났다.
이 과정에서 다수의 국민의힘 의원들은 계엄 해제 의결 표결에 참석하지 못했고, 해당 결의안은 국민의힘 의원 108명 중 90명이 불참한 가운데 재석 190명·찬성 190명으로 가까스로 가결됐다. 야권은 "의도적 방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는 반면, 여권은 "정상적인 절차"였다고 항변 중이다.
한편, 특검팀은 윤석열 전 대통령 측이 보수 성향 유튜브 채널 신의한수 신혜식 대표에게 체포영장 집행 저지 등을 주문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경찰 수사 상황을 주시 중이다. 특검팀은 필요할 경우 자료 이첩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지만, 현 단계에서 신혜식 대표 조사는 즉각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특검보 박지영은 "신 대표가 이미 휴대폰을 임의제출한 만큼, 필요할 경우 포렌식만 실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또, 윤 전 대통령 측 법률대리인단에 포함된 석동현 변호사 관련자 조사도 당장 추진하진 않는다고 덧붙였다.
정치권은 압수수색과 피의자 적시 이후 특검 수사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주목하는 분위기다. 여야는 이번 사안을 두고 강도 높은 공방전을 이어갈 전망이며, 국회는 향후 정기국회에서 관련 현안 질의와 법적 대응 논의를 본격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