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내란문책 별도조직 검토”…강훈식, 김건희 문화재 의혹 전면조사 시사

송다인 기자
입력

비상계엄 내란 의혹과 김건희 전 대통령 부인의 문화재 출입 논란을 둘러싸고 대통령실 책임론이 국회에서 본격 제기됐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6일 국회 운영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진상조사 및 별도 조직 발족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당 측이 내란 관련 행정부문 전수조사와 김건희 씨의 국가 문화재 출입 의혹을 연이어 지적하며 정치권 갈등이 격화되는 분위기다.

 

강훈식 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김영배 의원이 “내란 당시 전 부처 공무원들의 역할을 조사해야 한다”고 요구하자 “동의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내란 특검이 진행되고 있지만 매우 중요한 핵심 사안으로만 한정됐다”며 “더 많은 범위에서 더 많은 것이 이뤄졌을 가능성을 부인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행정적인 절차와 책임도 확인해야 한다”며 “조만간 관련 별도 조직이 필요하다면 발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부인 김건희 씨가 민간인 출입이 금지된 문화유산에 마음대로 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강 실장은 “말씀대로 하겠다”며 조사를 약속했다. “김씨가 국가의 수장고, 주요 문화재에 임의로 들어가 국민의 역린을 건드린 사태와 관련해 전수조사 후 내용을 보고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강 실장은 “대통령실에 왔을 때 이미 많은 기록이 삭제된 상태였다”고 밝히며, “지난 정부의 문제점을 낱낱이 밝히고 싶지만 이미 없애버렸던 지점도 있다”고 부연했다.

 

이날 국회에서는 내란행위 관련 정부 책임과 전 대통령 부인 특혜성 출입 의혹을 두고 현안질의가 이어졌다. 야당은 투명한 진상 규명과 책임 명확화를 촉구한 반면, 정부는 기록 부재에 따른 한계를 설명하며 신속 대응 방침을 시사했다.

 

정치권은 정부 차원의 별도 조사기구 구성 및 전수조사 착수 여부를 주목하고 있다. 향후 관련 조직이 실제로 발족될지, 논란이 정국의 쟁점으로 부상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송다인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강훈식#김건희#비상계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