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조현 장관 후보자 청문회, 국회 외통위 일정 확정”…여야 증인 협의 계속
통일·외교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를 둘러싼 여야의 신경전이 본격화됐다. 7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는 전체회의를 통해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와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 실시계획서를 의결했다. 이번 결정은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통일부·외교부 장관 인사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진다.
외통위의 의결에 따라 정동영 후보자 청문회는 오는 14일 오전 10시에 개최된다. 조현 후보자 청문회는 17일 제헌절 행사 직후로 잡혔다. 여야는 증인 및 참고인 명단을 두고 이견을 보이며, 청문회 전까지 계속 협의하기로 했다. 정치권에서는 ‘증인 신경전’이 청문회 쟁점화 양상으로 이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정동영 후보자는 이재명 정부가 처음 지명한 통일부 장관 후보자로, 참여정부에서 통일부 장관을 지낸 경력이 있다. 5선 국회의원이기도 한 그는 2004년부터 2005년까지 개성공단 사업을 직접 이끌었으며, 특사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해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면담한 경험이 있다.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외무고시 13회 출신으로 1979년 외교부에 입부한 이래 다자외교 및 통상 분야에서 오랫동안 활약해 온 정통 외교관이다. 2017년 외교부 2차관, 이듬해 1차관으로 잇따라 임명된 데 이어 2019년부터 2022년까지 주유엔 대사를 역임한 바 있다.
청문회 증인 및 참고인 선정 문제를 두고도 여야의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여당은 후보자 정책 역량과 도덕성 검증을 위한 최소한의 인원을 주장하는 반면, 야당은 후보자 주요 이력과 과거 정책 결정 배경까지 꼼꼼하게 따지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여야가 청문회 전까지 증인 명단을 둘러싸고 치열한 협상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정치권에서는 이번 청문회가 이재명 정부 첫 외교·안보 라인 인선이라는 점에서 정국에 미칠 파급력이 작지 않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각 후보자에 대한 날카로운 검증과 여야 공방이 예고되는 상황이다.
국회 외통위는 두 후보자 청문회 직전까지 증인·참고인 선정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으며, 정치권 역시 청문회 이슈를 정면으로 맞대응할 태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