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로 투자자 대규모 손실”…UBS, 외환파생 고객에 위로금 지급 파장
현지 시각 7일, 스위스 기반 글로벌 투자은행 UBS가 도널드 트럼프(Donald Trump) 전 미국(USA)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후 외환파생상품 투자 손실을 본 고객 100여명에게 위로금 지급에 나선 사실이 확인됐다. 금융규제 강화 기조와 맞물리며 이번 조치는 유럽 금융계와 각국 투자자 보호 논쟁에 직접적인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4월 상호관세 정책 도입을 전격 공개한 뒤 달러화 가치가 급락해 외환파생상품 시장은 급변했다. UBS가 고위험 감수 또는 전문 투자자 대상 맞춤형 파생상품 판매에 적극 나섰던 가운데, 일부 투자자가 300만 스위스프랑(약 51억 원)의 손실을 입고 손실률이 15%를 넘었다는 주장까지 제기됐다.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외신에 따르면, 이번 위로금 지급은 스위스 금융당국이 감독을 강화하는 분위기에서 UBS 측이 민원과 평판 손상 방지에 나선 조치로 보인다. 다만, 일부 투자자는 손실에도 불구하고 위로금을 받지 못해 형사 고소를 제기한 상황이다. 투자자 측 변호인은 “이 상품 구조 자체가 은행 위험을 고객에 전가하면서 손실 가능성은 크고 기대 수익은 낮았다”며, 위험 설명미비를 문제 삼았다. 실제 고객 중 상당수가 손실 위험을 반복 문의했으나 UBS가 투자자 우려를 무시했다는 주장도 나왔다.

UBS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에 따라 소수 고객이 예상치 못한 피해를 입은 사안”이라며 “개별 사례를 엄중히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사태 진정 의지를 내비쳤다.
한편, 거래 관행과 투자자 보호 실효성, 내부 적합성 심사 절차 미비 등이 유럽 금융권에서 논란으로 번지고 있다. 현지 주요 경제 전문지들은 “정책 변화가 글로벌 파생시장에 미친 충격의 전형적 사례”라 진단했다.
시장에선 앞으로 스위스 등 금융 당국의 규제 강화와 함께 UBS를 비롯한 대형 은행의 고위험 파생상품 판매 관행 전반에 대한 감시가 더욱 촉각을 곤두세울 전망이다. 투자자보호 기준 강화와 충분한 위험 고지 필요성이 국제금융계의 화두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조치가 향후 국제 관계와 글로벌 금융시장의 투자자 보호 흐름에 어떤 변화를 촉발할지 눈길이 쏠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