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위 안 수용 여부 오늘 결정”…윤희숙, 당 쇄신 운명 ‘의총’서 정면 호소
정치적 쇄신 필요성을 놓고 국민의힘 내부 갈등이 최고조에 달했다. 대선 패배 이후 재정비를 위해 꾸려진 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제안한 혁신안을 두고 당 의총에서 치열한 공방이 예고된 가운데,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혁신동력의 불씨가 꺼질 수 있다”며 거듭 호소에 나서면서 긴장감이 고조됐다.
국민의힘은 7월 23일 오전, 혁신위원회가 마련한 ▲ 당헌·당규의 대국민 사죄 조항 ▲ 최고위원 선출방식 개편 ▲ 당원소환제 강화 등 3개 안건을 상정해 의원총회에서 논의할 계획이다. 혁신위 안이 의총에서 통과되면 당 쇄신 작업이 본궤도에 오르겠지만, 당내 여론은 무게추가 반대와 보류 쪽으로 쏠리고 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의총의 논의 결과가 남은 혁신동력의 운명을 가를 분기점이 될 것”이라며 “윤석열당, 극우당으로 퇴행할지 여부가 며칠 내 결정된다”고 역설했다. 그는 앞서 최고위 보고 자리에서 “몰매를 맞는 분위기”라고 비판적 분위기를 토로하기도 했다.
반면 의원들의 반발도 거세다. 원내 핵심 관계자는 “지도부는 의원 의견을 듣는 것이 원칙이지만, 받아들일 수 없는 내용이 많다는 이야기가 우세하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수도권 한 재선 의원은 “혁신 필요성은 동의하지만 지금 제안이 성급하고 방향 설정이 부족하다”며 조율 필요성을 강조했다.
세부 내용별로는 당헌·당규에 사죄를 명시하는 방식에 부정적 시선이 적지 않다. 대표 단일지도체제 전환과 관련해서도 당내 일각에선 “정당 민주주의 훼손”이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윤희숙 위원장이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을 1호 ‘인적 청산’ 대상으로 지목한 점이 내부 반발을 더 키운 모습이다. 나경원 의원은 “자해행위”라며 반발했고, 장동혁 의원은 “선거 때만 이용하고 버리느냐”고 공개 비판했다.
아울러 다음 달 22일 전당대회 일정이 공식화되면서 혁신안 논의에 대한 동력이 떨어지고 있다. 차기 당 지도부가 꾸려진 후 혁신 과제를 맡기는 게 적절하다는 주장도 확산되는 분위기다. 그러나 의총에서 혁신안이 부결돼도, 윤 위원장이 제기한 인적 쇄신 요구는 당권 경쟁의 핵심 화두로 남을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제기된다.
이날 안철수·조경태 의원 등 일부 당권 주자들은 윤 위원장의 인적 청산론에 동의 의사를 밝히는 등 계파별 시각차도 뚜렷하다. 당내 일각은 혁신안을 둘러싼 의견 충돌이 지도체제, 공천권 등 광범위한 쇄신 이슈로 확산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국민의힘은 이날 의총에서 혁신안 수용 여부를 두고 첨예한 입장차를 노정한 채, 당내 쇄신 동력을 이어갈 것인지, 혹은 논쟁과 분열을 반복할 것인지 또 한 번 시험대에 오른 모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