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한 빨리 복구”…이재명 대통령, 산청 폭우 피해 현장서 특별재난지역 신속 지정 지시
폭우에 따른 대규모 인명 피해가 확인된 경남 산청군을 두고 이재명 대통령과 정부가 현장 중심 대응에 나섰다. 피해 지역에서 직접 수재민들을 위로하며, 특별재난지역 신속 지정과 실질 지원을 주문하는 등 적극적 행보가 이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7월 21일 경남 산청군 일대를 찾아 피해 현장을 점검하고 대책 보고를 받았다. 노란색 민방위 옷과 장화를 착용한 이 대통령은 토사가 쏟아져 주택이 파손된 곳과 주요 시설을 돌아보며, 실종자 수색·복구 작업 상황을 직접 확인했다. 특히 산청읍 부리마을에서 희생자 유가족과 주민들과 악수하며 "마음이 많이 아프다"며 직접 우산을 씌워주는 모습을 보였다.

현장에서는 인근 축사가 침수돼 소 50마리가 갇혔다는 주민 호소도 나왔다. 이 대통령은 "필요한 지원책을 제시해 달라"며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박완수 경남도지사 등에게 “각별히 신경 써달라”고 지시했다. 이어 “최대한 빨리 복구될 수 있도록 최대한 신경 쓰겠다”고 약속했다. 한 주민은 “공무원들이 어르신을 업고 대피해 인명 피해를 줄였다”고 말했으며, 이에 이 대통령은 “신속한 대처 사례를 조사해 달라”고 대응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이재명 대통령은 수색에 최선을 다해달라고 현장 인력들에게 당부했으며, 복구와 지원에 모든 자원·행정력을 총동원하라고 주문했다”고 밝혔다. 또 수재민들 대피와 생활 물품 부족 언급에 대해 “국민 눈높이에서 실질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현장에서 이승화 산청군수가 “특별재난지역 선포가 시급하다”고 건의하자, 이 대통령은 “최대한 빨리 지정하겠다”고 답했다. 아울러 재난안전관리 특별교부세 지원 방침을 밝히며, 행정안전부가 곧 호남·경남 지역 교부세 지급계획을 내놓을 전망이다.
한편 정치권은 집중호우 피해 대응과 특별재난지역 지정 등 주요 재난 정책에 대해 속도와 실질성, 행정력의 신속 투입을 두고 공방이 계속되는 모양새다. 전문가들은 현장의 신속 대응과 정부의 적극 지원이 수습과정의 민심 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정부는 추가 현장 점검과 대책 회의를 연달아 개최하며, 추가 폭우 등 재난상황에 대비한 종합대책 마련에 나설 예정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