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부부 자택까지 압수수색”…특검, 관저 이전 의혹 전방위 수사
대통령실 관저 이전 특혜 의혹을 둘러싼 공방이 다시 격화됐다.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김건희 여사와 윤석열 전 대통령을 정면으로 겨냥한 강제 수사에 착수하며 정국 긴장감이 높아지고 있다. 6일 오전 특검은 서울 서초동 아크로비스타 내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자택, 21그램과 코바나컨텐츠 사무실 등 7곳을 압수수색하면서 관련 의혹에 새 국면을 예고했다.
이날 특검팀은 대통령 관저 이전 특혜 의혹을 들여다보기 위해 강제수사에 나섰다고 밝혔다. 압수수색 대상에는 김건희 여사가 운영한 코바나컨텐츠, 관저 인테리어 공사를 도맡은 21그램 사무실, 그리고 윤 전 대통령 자택이 포함됐다. 특히 코바나컨텐츠와 21그램은 과거 전시회 후원·사무실 설계 등에서 긴밀히 협력한 정황이 다수 드러난 바 있다.

박영수 특별검사팀 관계자는 “21그램이 종합건설업 면허 없이 대통령 관저와 대통령실 이전·증축 공사를 수의계약 받은 사실관계를 집중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고 전했다. 21그램은 김 여사와의 친분을 기반으로 관저 공사를 따냈다는 특혜 의혹과 더불어, 15개 무자격 업체에 하도급을 맡겨 건설산업기본법 위반 지적을 받은 바 있다.
정치권도 특검의 전방위 압수수색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참여연대는 “대통령실 이전 과정에서 특정 업체에게 특혜를 몰아주고, 감사원은 본질적 진상규명을 외면했다”며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관저 이전과 업체 선정에 대한 철저한 진상 규명이 필요하다”며 특검 행보를 환영하는 분위기다. 반면 여권 일각에서는 "정치적 의도를 노린 무리한 수사"라는 입장도 흘러나오고 있다.
한편 감사원은 지난해 9월 이미 문제 업체인 21그램이 계약 전 공사에 착수했고, 각종 하도급 위반 사례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그러나 업체 선정 경위나 관여자에 대한 구체적 설명이 부족해 부실감사 논란에 휩싸였다. 김오진 전 국토교통부 차관은 “업체 추천은 인수위와 경호처 등 여러 경로를 통해 이뤄졌으나, 21그램을 누가 정했는지는 기억나지 않는다”고 진술했다.
정가에서는 특검의 이번 압수수색을 계기로 감사원의 부실감사 논란이 재점화되고, 대통령실·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행보에도 적잖은 정치적 부담이 쏠릴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정치권은 특검팀 수사와 감사 결과를 주시하며, 향후 진상 규명과 재발 방지책 마련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