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유네스코서 군함도 이행 점검 격돌”…표결로 국제 외교전 본격화
역사 논쟁의 최전선에서 한국과 일본이 다시 맞붙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무대에서 일본의 산업유산 ‘군함도’ 관련 이행 조치 평가를 두고 사상 첫 표결이 진행되면서, 국제 외교전이 한층 격화되는 분위기다.
7일 오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제47차 회의에서는 ‘메이지 산업유산 관련 위원회 결정 이행상황 평가’ 안건의 정식 의제 채택 여부가 논의됐다. 앞서 한국 대표단은 일본의 강제동원 역사 서술과 관련한 미흡한 후속조치 문제를 지적하면서 이번 회의에서 관련 이행상황을 재점검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해당 사안은 세계유산위원회 전체 논의보다는 양국 간 협의 차원에서 다뤄야 할 문제”라며 강하게 반발했다. 일본 측은 문제의 안건을 삭제한 수정 의제안을 내놓았고, 한국은 “일본이 세계유산 등재 당시 약속했던 조선인 강제동원 설명 의무를 지키지 않고 있다”고 강조하며 표결 요청까지 거듭했다.
한일 양국이 유네스코 공식 회의장에서 역사 문제로 의제 채택을 두고 경쟁 투표에 나서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외교 소식통도 “국제 여론전 측면에서 매우 이례적인 충돌이며, 표결 결과에 따라 향후 한일관계와 일본의 역사 인식 문제 모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평했다.
군함도(하시마)는 나가사키시 인근 해상 산업시설로, 지난 2015년 일본 메이지 산업혁명 관련 유산으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됐다. 당시 일본 정부는 조선인 강제동원 사실을 알리고, 그 역사를 정확히 기념하겠다는 이행 약속을 했다. 하지만 한국 정부와 관련 전문가들은 “후속 이행사항이 매우 부족하다”며 국제사회 재점검 필요성을 꾸준히 제기해 왔다.
이날 표결 결과에 따라 일본의 추가 조치 여부와 유네스코 내 한일 외교전 양상도 더 복잡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군함도 관련 역사 진실의 국제적 공유 및 일본 측 추가 이행 의무를 계속 추적한다는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