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2분기 영업이익 55.9% 급감”…삼성전자, 반도체 부진·1조원대 충당금에 실적 타격
경제

“2분기 영업이익 55.9% 급감”…삼성전자, 반도체 부진·1조원대 충당금에 실적 타격

박진우 기자
입력

삼성전자가 8일 발표한 2024년 2분기 잠정실적에서 영업이익이 4조6,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5.94% 감소한 수치다. 매출은 74조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0.09% 하락했다. 반도체(DS) 부문의 약세와 1조 원 규모 재고자산 평가 충당금 반영 등이 이번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전문가들은 DS부문 영업이익이 당초 증권가 예상을 크게 밑도는 4,000억 원 수준에 그친 점에 주목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엔비디아용 HBM 공급 지연, 고대역폭 메모리(HBM) 경쟁력 약화, 미국의 대중 반도체 제재에 따른 파운드리 가동률 저하가 실적에 복합적으로 악영향을 줬다고 진단했다. DS부문은 2분기 대규모 재고평가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반영하며 추가 하방 리스크에 대비했다. 이와 함께 낸드플래시는 수요 위축과 가격 하락, 미국발 관세 부담으로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55.9% 감소…반도체 부진과 1조원대 충당금 영향
‘삼성전자’ 2분기 영업이익 55.9% 감소…반도체 부진과 1조원대 충당금 영향

이 같은 실적 악화에도 불구하고, 업계와 증권가는 2분기를 저점으로 보고 하반기 실적 개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3분기부터 메모리 가격 반등 및 계절적 성수기, HBM3E(5세대) 12단 제품 공급 확대, 파운드리와 시스템 LSI 사업 적자 폭 축소를 기대하는 분위기다. 삼성전자는 하반기 엔비디아 공급망 진입을 추진하고, 낸드는 고부가 가치 제품군 확대로 수익성 확보를 모색할 계획이다.

 

김양팽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은 “중국향 반도체 수출 규제와 HBM 시장 경쟁력 저하가 대규모 재고 충당금 반영 등 실적 부진을 이끌었다”며, “하반기에는 재고 리스크 해소와 고객사 확대에 따라 점진적인 실적 개선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7월 31일 2분기 사업 부문별 상세 실적을 추가로 공개할 예정이다. 시장에서는 실적 저점 이후 반등 폭과 반도체 부문의 재고 관리가 하반기 실적과 기업가치 회복의 핵심 변수로 분석하고 있다.

박진우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삼성전자#반도체#충당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