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통화량 27조1천억원 증가”…한국은행, 증시 자금 유입에 M2 확대
6월 국내 통화량이 증시 자금 유입의 영향으로 한 달 만에 27조1천억원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증시 회복세와 함께 수익증권 및 금전신탁의 잔액이 증가했으며, 가계와 일부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유동성 확대가 이어지고 있다. 단, 기업 부문은 자금이 감소한 점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6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평잔 기준)은 4,307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5월 대비 0.6% 늘어난 수준이다. 한은은 증시로의 자금 유입과 단기 금융상품 수요가 증가한 점을 배경으로 들었다.

M2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환매조건부채권(RP), 2년 미만 금융채, 금전신탁 등 단기 금융상품이 더해진 지표다.
세부적으로 수익증권 잔액이 8조1,000억원, 금전신탁이 8조2,000억원 각각 늘어나며 통화량 확대를 견인했다. 한은 관계자는 “수익증권의 경우 증시 회복세에 따라 주식형 증권 중심으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금전신탁에 대해서는 “정기예금,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 자금 유입이 확대되면서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시장형 상품은 예·적금 위주 자금 조달이 계속됨에 따라 1조4,000억원 감소했다는 분석이다. 주요 예금 취급 기관들이 예·적금에 집중하면서 단기 시장성 금융상품 자금 유입이 줄어든 영향이 반영됐다.
경제 주체별로는 기타 금융기관이 19조6,000억원,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12조3,000억원, 기타 부문이 2,000억원씩 각각 증가했으나, 기업 부문은 7조원 줄어드는 등 차별화된 흐름을 보였다.
한편, 현금·요구불예금·수시입출식 예금 등으로 구성된 M1 통화량은 1,276조8,000억원으로, 전월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통화량 확대가 증시, 단기 금융시장 등에서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시장에서는 향후 유동성 흐름과 기업 부문의 자금 변화 추이에 주목하고 있다. 한국은행은 주요 경제 지표 및 시중 유동성 동향을 예의주시하며 정책방향을 점검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