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제헌절, 다시 공휴일 되나”…국회, 재지정 법안 논의 본격화
사회

“제헌절, 다시 공휴일 되나”…국회, 재지정 법안 논의 본격화

김태훈 기자
입력

제헌절의 공휴일 재지정 여부를 둘러싼 국민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7월 17일 제77주년 제헌절을 앞두고, 제헌국회의원 유족회가 11일 국회를 찾아 우원식 국회의장과 간담회를 진행하며 관련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요청할 계획이다.

 

대한민국 제헌국회의원 유족회는 8일, 오는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사랑재에서 우 의장과 오찬 간담회를 갖는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호 제정과 헌법 제정에 기여한 제헌의원 업적을 기리고, 유족들을 위로하기 위해 마련됐다. 유족회 윤인구 회장은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법안의 빠른 처리를 촉구하고, 현재 금요일만 개방 중인 제헌회관의 상시 개방도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최근 온라인상에는 한 달 동안 공휴일이 없는 상황과 함께, 제헌절이 왜 공휴일에서 제외됐는지에 대한 내용이 퍼지고 있다. 제헌절은 1948년 7월 17일 대한민국 헌법이 공포된 것을 기념해 1949년 국경일 제정 당시 5대 국경일로 지정됐으나, 2008년 이명박 정부가 “주 5일 근무제 확대에 따른 기업 부담”을 이유로 공휴일에서 제외했다. 당시 노동계와 시민단체는 반발했으나, 이후 현재까지 제헌절은 국경일이지만 쉬는 날은 아니다.

 

이와 함께 한글날이 1991년 공휴일에서 빠졌다가 2013년 다시 공휴일로 지정된 전례와, 식목일이 2006년 제외된 사례가 재언급되며, 제헌절의 공휴일 재지정 필요성에 대한 여론 역시 증가하는 상황이다.

 

국회는 이날 간담회 결과와 국민 여론을 반영해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법안 논의에 속도를 낼지 주목된다. 전문가들은 “제헌절은 헌법과 민주주의의 가치를 되새기는 날인 만큼 제도적 위상 회복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우원식 국회의장은 11일 간담회에서 입장을 밝힐 계획이다. 제헌절 공휴일 재지정 여부는 향후 국회 논의와 사회적 여론에 따라 결정될 전망이다.

김태훈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제헌절#우원식국회의장#제헌국회의원유족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