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키즈폰 캐릭터 무너, 문구야놀자서 만난다”…LG유플러스, 접점 확대 시동
IT/바이오

“키즈폰 캐릭터 무너, 문구야놀자서 만난다”…LG유플러스, 접점 확대 시동

박다해 기자
입력

키즈폰 주력 캐릭터 무너가 문구점 채널을 통해 초등학생 일상 속으로 한걸음 더 다가가고 있다. LG유플러스는 4일 무인문구점 브랜드 문구야 놀자와 손잡고, 자사 키즈폰 캐릭터 무너를 활용한 문구류 판매에 나선다고 밝혔다. 전국 50여 개 문구야 놀자 매장이 무너 특화점으로 선정됐으며, 2025년 3월까지 매장 수가 단계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업계는 이번 협업을 키즈폰 시장 내 고객 경험 경쟁의 분기점으로 보고 있다.

 

문구야 놀자는 전국 250여 초등학교 인근 매장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무너 특화점에서는 무너 캐릭터가 적용된 호루라기, 볼펜, 필통 등 다양한 문구 제품이 판매된다. 기존 키즈폰 시장이 외산 캐릭터 의존도가 높았던 가운데, LG유플러스가 자체 개발한 국산 캐릭터 무너는 ‘초통령’으로 불릴 만큼 초등학생 사이에서 높은 인지도를 쌓아왔다. 실제로 무너는 LG유플러스 키즈폰 마스코트로 기여하며, 자사 키즈폰 시장 점유율 1위 달성에도 한몫한 것으로 평가된다.

이번 매장 제휴는 단순한 캐릭터 상품화 차원을 넘어서, 초등학생 일상 접점에서 브랜드 친밀도를 높이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호루라기 등 실용 문구에 캐릭터를 접목해 사용 빈도를 높이고, 자연스럽게 키즈폰 브랜드와의 연계 효과도 노릴 수 있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무너 팬층이 두꺼워지는 상황을 반영해, 키즈카페·마트 등 생활밀착형 오프라인 유통채널로 특화 매장을 순차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키즈폰 캐릭터 경쟁은 이미 국내외 업계에서 마케팅 격전장으로 떠올랐다. LG유플러스가 무너로 차별화된 팬덤을 구축한 반면, 글로벌 캐릭터와의 협업이나 IP 확장 시도도 계속되는 추세다. 미국과 일본 등 해외 시장에서는 마블, 디즈니 등 인기 IP 캐릭터를 활용한 키즈 상품 라인업이 꾸준히 확대되고 있다. 이에 맞서 LG유플러스는 국산 캐릭터의 독자적 성장 가능성에 투자하며,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 확보를 노리고 있다.

 

향후 초등학생 대상 캐릭터 상품 기획은 저연령층 개인정보 보호, 캐릭터 저작권 규제 등 적잖은 법적 이슈와도 맞닿아 있다. IT업계 전문가들은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 디지털·캐릭터 융합 마케팅이 확대되는 만큼, 친환경 소재 적용이나 소비자 안전 기준 강화 등으로 신뢰를 높일 필요가 있다”고 분석한다.

 

산업계는 무너를 통한 LG유플러스의 키즈마케팅 전략이 오프라인 채널 확산과 함께 키즈폰 시장의 캐릭터 홍보 경쟁 구도를 흔들지 주목하고 있다. 기술과 브랜드, 유통 생태계 간 연결고리가 IT업계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로 자리잡을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박다해 기자
share-band
밴드
URL복사
#lg유플러스#무너#문구야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