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서비스 차질”…우정사업본부장 공백 장기화 우려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서버 화재로 우정사업본부의 우체국 서비스가 대량 마비되는 사태가 벌어진 가운데, 우정사업본부장 공석 장기화에 따른 관리 공백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가 재난 급의 IT 기반 서비스 장애가 장기간 이어지는 가운데, 복구와 재해 방지 총괄 역할을 맡아야 할 기관장 자리가 비어 있다는 점이 현장 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는 평가다.
조해근 우정사업본부장 임기가 25일로 종료된 이후 현재까지 후임 선임 절차는 개시되지 않았다. 곽병진 경영기획실장이 직무대리를 겸하고 있지만, 화재 발생·복구라는 전례 없는 위기 상황에 장기대행 체계가 한계에 봉착할 가능성이 있다. 국정자원관리원 화재는 본부장 임기 만료 다음날인 26일 일어났다. IT 인프라 중심 기관의 수장 공백이 국가 우편·금융 시스템 복구 지연 등 관리 책임 문제로 번질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레 거론된다.

우체국금융 및 우편 물류 등 디지털 기반 서비스는 사고 발생 이틀 만에 일부엔 정상화됐다. 하지만 화재로 피해를 입은 최신 우편 시스템 대신, 6월 이전의 노후 설비를 재가동하는 등 임시 복구에 그쳤다. 미국행 EMS, 우체국쇼핑, 기관 연계 전자우편 등 고도화된 플랫폼 서비스는 당분간 제공이 어렵다. 복구 지연으로 배달통합, 추적 서비스, 일부 송달에 불편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추석 명절 우편물 운송이 이미 특별소통 체계에 돌입한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IT 재난까지 겹쳐, 현장 직원 및 국민 체감 피해가 누적될 수 있다. 글로벌 대비 디지털 우편 시스템의 안정 운영, 재해 대응 역량이 도마에 올랐다는 지적도 나온다. 해외 주요국 우정기관과 달리, 국내에서는 기관장 직무대행 체제가 수주 단위로 지속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우정사업본부장은 복합금융·우편 분야 특성상 개방직 선임 절차를 거친다. 정부 공고, 서류 및 면접 심사, 최종 후보 선정 등 통상 수개월 소요된다. 임기 만료 후 곧바로 선임 절차에 착수하지 못하는 관행이 뒷받침 체계 미비 논란을 낳았다.
전문가들은 IT 인프라 기반 공공서비스의 위기 대응과 상시 복구 역량 확보를 위해, 기관장 공백 기간 단축 및 조직 책임 체계 재정립이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디지털 사회에서 공공 플랫폼 수장의 부재는 위기관리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산업계는 이번 본부장 부재 사태가 시스템 안정화 및 신뢰 회복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